조선족 51% "한국 와서 더 잘살게 됐다"…가사·식당도우미 비율 높아
국내 조선족의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보다 한국에 와서 더 잘살게 된 것으로 여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5일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정치법학과 이상희 씨의 2015학년도 석사 학위 논문 '조선족 이주자들의 사회 적응 및 관련 정책에 관한 조사 연구'에 따르면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 조선족 374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습니다.
가정 형편이 중국에서보다 한국 이주 후 더 좋아졌다는 응답이 50.8%로 절반을 넘었고, 반대로 중국에서보다 더 못 살게 됐다는 답은 6.7%에 그쳤습니다.
중국과 큰 차이가 없다는 답은 42.5%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 더 잘살게 됐다는 응답을 직업별로 보면 가사·식당 도우미가 61.6%로 가장 높았고, 생산직 57.4%, 사무직 54%, 자영업 51.4%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 달 평균 수입으로는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이 47.1%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고, 20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 22.5%, 100만 원 미만 11.2%, 300만 원 이상∼400만 원 미만 9.1%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중국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하는 한 달 평균 금액은 100만 원 미만이 57.2%로 가장 많았고,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 8%, 20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이 1.9%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중 가사·식당 도우미로 일하는 경우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을 송금한다는 응답이 20.2%로 다른 업종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국 이주 후 가장 어려운 일로 꼽은 점은 경제 문제(22.7%)가 가장 많았고, 한국인의 부정적 시각(22.2%), 자녀 교육(16.3%), 문화적 이질감(15.2%) 등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국인의 조선족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 안 쓰는 것 같다'는 답이 42.5%로 절반 가까이 됐습니다. 부정적(25.4%) 또는 매우 부정적(8%)이라고 느낀다는 비율이 호의적(19.8%) 또는 매우 호의적(4.3%)이라는 비율과 비슷했습니다.
한국 이주 만족도에는 '그저 그렇다'는 답이 39.3%에 달했고 '이주하길 잘했다' 35.3%, '이주하길 아주 잘했다' 16.6% 등으로 대체로 만족하는 경향인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이주를 후회한다'는 3.7%, '이주를 매우 후회한다'는 5.1%에 그쳤습니다.
한국의 이주민 복지 정책 중 가장 부족한 정책으로는 노동 정책(27%)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주택 24.1%, 소득 보장 19.3%, 교육 10.7% 등의 순이었습니다.
이주민 복지 정책이 가장 시급한 대상으로는 노인(29.9%), 어린이 22.2%, 청소년 21.1% 등의 순으로 답변했습니다.
이주민 복지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는 정부의 의지 28.6%, 정책 수립·점검을 위한 전문기관 설치 26.7%, 각 계층의 의견 수렴 19.3%, 정부의 예산 증액 17.9% 등이 꼽혔습니다.
논문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조선족 이주자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된다"면서 "조선족 이주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고 민족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동화주의적 정책, 한국인들에 대한 다문화 수용 시민 교육 정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국내 조선족의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보다 한국에 와서 더 잘살게 된 것으로 여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15일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정치법학과 이상희 씨의 2015학년도 석사 학위 논문 '조선족 이주자들의 사회 적응 및 관련 정책에 관한 조사 연구'에 따르면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 조선족 374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습니다.
가정 형편이 중국에서보다 한국 이주 후 더 좋아졌다는 응답이 50.8%로 절반을 넘었고, 반대로 중국에서보다 더 못 살게 됐다는 답은 6.7%에 그쳤습니다.
중국과 큰 차이가 없다는 답은 42.5%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에서 더 잘살게 됐다는 응답을 직업별로 보면 가사·식당 도우미가 61.6%로 가장 높았고, 생산직 57.4%, 사무직 54%, 자영업 51.4%로 뒤를 이었습니다.
한 달 평균 수입으로는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이 47.1%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고, 20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 22.5%, 100만 원 미만 11.2%, 300만 원 이상∼400만 원 미만 9.1%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중국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하는 한 달 평균 금액은 100만 원 미만이 57.2%로 가장 많았고,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 8%, 200만 원 이상∼300만 원 미만이 1.9%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중 가사·식당 도우미로 일하는 경우 100만 원 이상∼200만 원 미만을 송금한다는 응답이 20.2%로 다른 업종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국 이주 후 가장 어려운 일로 꼽은 점은 경제 문제(22.7%)가 가장 많았고, 한국인의 부정적 시각(22.2%), 자녀 교육(16.3%), 문화적 이질감(15.2%) 등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국인의 조선족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 안 쓰는 것 같다'는 답이 42.5%로 절반 가까이 됐습니다. 부정적(25.4%) 또는 매우 부정적(8%)이라고 느낀다는 비율이 호의적(19.8%) 또는 매우 호의적(4.3%)이라는 비율과 비슷했습니다.
한국 이주 만족도에는 '그저 그렇다'는 답이 39.3%에 달했고 '이주하길 잘했다' 35.3%, '이주하길 아주 잘했다' 16.6% 등으로 대체로 만족하는 경향인 것으로 풀이됐습니다.
'이주를 후회한다'는 3.7%, '이주를 매우 후회한다'는 5.1%에 그쳤습니다.
한국의 이주민 복지 정책 중 가장 부족한 정책으로는 노동 정책(27%)을 가장 많이 꼽았고, 이어 주택 24.1%, 소득 보장 19.3%, 교육 10.7% 등의 순이었습니다.
이주민 복지 정책이 가장 시급한 대상으로는 노인(29.9%), 어린이 22.2%, 청소년 21.1% 등의 순으로 답변했습니다.
이주민 복지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필요한 항목으로는 정부의 의지 28.6%, 정책 수립·점검을 위한 전문기관 설치 26.7%, 각 계층의 의견 수렴 19.3%, 정부의 예산 증액 17.9% 등이 꼽혔습니다.
논문은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조선족 이주자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이 부각된다"면서 "조선족 이주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키고 민족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동화주의적 정책, 한국인들에 대한 다문화 수용 시민 교육 정책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