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집값이 너무 뛰어서 그런 걸까요? 아니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재지정할 수 있다는 엄포 때문일까요?
최근 집값이 급등한 서울 잠실 등 강남권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빠르게 식고 있습니다.
매수세가 끊기고 중개업소들은 문을 닫았는데, 반면 외곽 지역은 열기가 번져 거래가 늘어나는 모양새입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 기자 】
부동산 중개업소가 밀집한 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 상가입니다.
집 보러 오는 사람이 많은 주말인데도 문 연 곳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 스탠딩 : 강서영 / 기자
- "건물 안의 부동산 중개사무소들도 모두 간판불을 끄고 문을 걸어잠궜습니다."
서울시가 투기 단속반을 투입하자 불똥이 튈 것을 우려한 부동산들이 대면 영업을 멈춘 겁니다.
과열이 계속되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다시 지정하겠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매수세는 주춤해졌다는 게 현장의 반응입니다.
▶ 인터뷰(☎) : 서울 잠실동 공인중개사
-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인 거잖아요. 그러니까 이제 거래가 주춤하게 된 거죠."
실제 가파르게 뛰던 송파구 아파트값도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이 불었던 지난 달 초보다 주춤해졌습니다.
반면, 그동안 찬바람만 불던 노원과 도봉, 강북구 등 외곽 지역은 거래량이 늘어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노원구는 집값 하락세가 멈췄고, 도봉과 강북구도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 인터뷰(☎) : 서울 상계동 공인중개사
- "토지거래 허가 풀린 다음부터는 좀 문의가 좀 늘긴 했어요. 실제로 거래도 되고 있긴 하는 것 같고요. 약간 훈풍은 불고 있는…."
다만,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이 4만 8천 가구로 비교적 많은 편이어서 아파트값 급등세가 지속되기 어려울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MBN뉴스 강서영입니다.
[kang.seoyoung@mbn.co.kr]
영상취재 : 이권열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
그래픽 : 고현경
집값이 너무 뛰어서 그런 걸까요? 아니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재지정할 수 있다는 엄포 때문일까요?
최근 집값이 급등한 서울 잠실 등 강남권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빠르게 식고 있습니다.
매수세가 끊기고 중개업소들은 문을 닫았는데, 반면 외곽 지역은 열기가 번져 거래가 늘어나는 모양새입니다.
강서영 기자입니다.
【 기자 】
부동산 중개업소가 밀집한 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 상가입니다.
집 보러 오는 사람이 많은 주말인데도 문 연 곳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 스탠딩 : 강서영 / 기자
- "건물 안의 부동산 중개사무소들도 모두 간판불을 끄고 문을 걸어잠궜습니다."
서울시가 투기 단속반을 투입하자 불똥이 튈 것을 우려한 부동산들이 대면 영업을 멈춘 겁니다.
과열이 계속되면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다시 지정하겠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매수세는 주춤해졌다는 게 현장의 반응입니다.
▶ 인터뷰(☎) : 서울 잠실동 공인중개사
- "정상적으로 영업을 하기가 어려운 상황인 거잖아요. 그러니까 이제 거래가 주춤하게 된 거죠."
실제 가파르게 뛰던 송파구 아파트값도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감이 불었던 지난 달 초보다 주춤해졌습니다.
반면, 그동안 찬바람만 불던 노원과 도봉, 강북구 등 외곽 지역은 거래량이 늘어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노원구는 집값 하락세가 멈췄고, 도봉과 강북구도 상승세로 돌아섰습니다.
▶ 인터뷰(☎) : 서울 상계동 공인중개사
- "토지거래 허가 풀린 다음부터는 좀 문의가 좀 늘긴 했어요. 실제로 거래도 되고 있긴 하는 것 같고요. 약간 훈풍은 불고 있는…."
다만,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이 4만 8천 가구로 비교적 많은 편이어서 아파트값 급등세가 지속되기 어려울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MBN뉴스 강서영입니다.
[kang.seoyoung@mbn.co.kr]
영상취재 : 이권열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
그래픽 : 고현경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