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10% 하락할 경우 국내총생산(GDP)을 0.27%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낸 '국제 유가 하락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2000년부터 작년 3분기까지의 유가 변동을 토대로 이처럼 효과를 추정했다.
보고서는 국제유가가 10% 하락할 경우 4분기 후부터 소비는 0.68%, 투자는 0.02% 상승하며, 수출은 생산원가 절감으로 1.2%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내수와 수출 양면에서 경기개선 효과를 내면서 GDP와 국민총소득(GNI)도 각각 0.27%, 0.41% 올라가고 소비자물가는 4분기 후 0.46% 하락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정민 현대연 선임연구위원은 "현 상황에서 국제유가 하락은 경기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아울러 저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정부가 적극적인 경기부양책을 활용할 여건이 마련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제유가는 원유공급 과잉에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요가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더해져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장중 한때 80.01달러 수준까지 떨어져 지난 6월 연고점 대비 25% 하락했다.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