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강윤지 기자] 4년 연속 600만 돌파를 넘어 이제는 800만이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7일 10개 구단이 정한 목표 관객 수를 토대로 한 2015 KBO리그 목표 유치 관객 수를 발표했다. 총 목표 관객 수는 836만 2000명(경기당 평균 1만 1614명)으로 지난해의 650만 9915명에 비해 28.5% 증가한 수치이며, 역대 최다 관객을 유치했던 2012년(715만 6157명)의 기록도 훌쩍 넘어선 수치다.
KBO리그의 올 시즌 800만 도전에는 ‘호재’와 그를 이루기 위한 ‘과제’가 모두 뚜렷하다.
첫 번째 호재는 경기 수의 증가다. 리그 총 경기 수는 지난해 576경기서 720경기로 144경기 늘어난다. 팬들이 즐길 수 있는 경기 수가 늘어나면서 그에 비례해 더 많은 관중이 경기장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10구단 kt 위즈의 참여는 수원을 기반으로 한 야구팬을 늘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두 번째 호재는 변화한 야구장들이다. 올 시즌 처음으로 1군에서 경기를 치르는 kt 위즈는 종전의 수원구장을 주어진 여건 내에서 야구 관람에 최적인 리모델링을 마쳤다. 지난 14일 개장식에서 만원 관중(2만 명)을 동원한 데 이어 15일에도 1만 5000명의 관중이 kt위즈파크를 찾았다. 또한 문학구장의 끊임없는 발전도 팬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문학구장은 리모델링을 통해 수용 가능 좌석을 일부 줄이기는 했지만 포수 후면석 설치, 라운지 신설 등 팬들의 입맛을 고려한 좌석을 내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세 번째 호재는 바뀐 사령탑들이다. 지난 시즌 ‘팬심’을 등 돌리게 했던 많은 감독들이 올 시즌을 앞두고 교체됐다. 김성근 한화 감독은 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감독으로 선임됐고 ‘달라진 한화’를 약속하며 시범경기 때부터 많은 팬들을 대전 홈구장으로 불러 모았다. 김 감독 외에도 많은 새 감독들이 그들만의 색깔을 입힌 야구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호재들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발목을 모두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것은 역시 ‘경기력’이다. 팬들이 보러 가는 것은 경기장 그 자체가 아니다. 팬들은 또한 ‘보살’이라는 말을 거부한다. 팬들은 이기는 경기, 혹은 이기지 못하더라도 납득이 되는 경기를 보고 싶어 한다. 타고투저의 현상이 뚜렷했던 지난 시즌, 불펜에서 일으킨 많은 방화(放火)는 야구장을 찾은 관중들에게 허탈감을 주기도 했다. 매년 ‘하향평준화’의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올 시즌에는 이러한 우려를 씻을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chqkqk@maekyung.com]
한국야구위원회(KBO)는 27일 10개 구단이 정한 목표 관객 수를 토대로 한 2015 KBO리그 목표 유치 관객 수를 발표했다. 총 목표 관객 수는 836만 2000명(경기당 평균 1만 1614명)으로 지난해의 650만 9915명에 비해 28.5% 증가한 수치이며, 역대 최다 관객을 유치했던 2012년(715만 6157명)의 기록도 훌쩍 넘어선 수치다.
KBO리그의 올 시즌 800만 도전에는 ‘호재’와 그를 이루기 위한 ‘과제’가 모두 뚜렷하다.
첫 번째 호재는 경기 수의 증가다. 리그 총 경기 수는 지난해 576경기서 720경기로 144경기 늘어난다. 팬들이 즐길 수 있는 경기 수가 늘어나면서 그에 비례해 더 많은 관중이 경기장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10구단 kt 위즈의 참여는 수원을 기반으로 한 야구팬을 늘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두 번째 호재는 변화한 야구장들이다. 올 시즌 처음으로 1군에서 경기를 치르는 kt 위즈는 종전의 수원구장을 주어진 여건 내에서 야구 관람에 최적인 리모델링을 마쳤다. 지난 14일 개장식에서 만원 관중(2만 명)을 동원한 데 이어 15일에도 1만 5000명의 관중이 kt위즈파크를 찾았다. 또한 문학구장의 끊임없는 발전도 팬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문학구장은 리모델링을 통해 수용 가능 좌석을 일부 줄이기는 했지만 포수 후면석 설치, 라운지 신설 등 팬들의 입맛을 고려한 좌석을 내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세 번째 호재는 바뀐 사령탑들이다. 지난 시즌 ‘팬심’을 등 돌리게 했던 많은 감독들이 올 시즌을 앞두고 교체됐다. 김성근 한화 감독은 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감독으로 선임됐고 ‘달라진 한화’를 약속하며 시범경기 때부터 많은 팬들을 대전 홈구장으로 불러 모았다. 김 감독 외에도 많은 새 감독들이 그들만의 색깔을 입힌 야구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호재들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발목을 모두 한꺼번에 잡을 수 있는 것은 역시 ‘경기력’이다. 팬들이 보러 가는 것은 경기장 그 자체가 아니다. 팬들은 또한 ‘보살’이라는 말을 거부한다. 팬들은 이기는 경기, 혹은 이기지 못하더라도 납득이 되는 경기를 보고 싶어 한다. 타고투저의 현상이 뚜렷했던 지난 시즌, 불펜에서 일으킨 많은 방화(放火)는 야구장을 찾은 관중들에게 허탈감을 주기도 했다. 매년 ‘하향평준화’의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올 시즌에는 이러한 우려를 씻을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chqkqk@maekyung.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