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중 산소로 충전되는 차세대 리튬 공기 전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촉매가 개발됐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강정구 교수와 숙명여대 최경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의 원자 수준에서 리튬 공기 전지용 촉매를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오늘(1일) 밝혔습니다.
리튬 공기 전지는 공기 중 산소와 결합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지입니다.
리튬 이온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를 최대 10배까지 높일 수 있어 차세대 대용량 전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이 낮고 충·방전이 반복되면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전극에 촉매를 도입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촉매가 1 나노미터 이하로 작아지면 서로 뭉치면서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나노미터 이하 원자 수준에서 촉매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이용해 촉매를 안정적으로 격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무수히 많은 구멍이 뚫려 있는 금속 유기 구조체(MOF)의 기공에 코발트 수산화물 촉매를 가둬 뭉침 현상을 방지했습니다.
그 결과 리튬 공기 전지의 수명을 기존의 3배 정도로 늘릴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지난달 6일 자에 실렸습니다.
금속 유기 구조체 내 촉매가 기공 내에 안정화하는 과정 / 사진=KAIST 제공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