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원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들이 생산성과 품질 등 성과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지난 2014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 5003곳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 성과분석'을 한 결과 생산성이 평균 30% 높아졌다고 23일 밝혔다. 또 품질은 43.5% 향상됐으며, 원가는 15.9% 감소, 납기 준수율은 15.5% 높아지는 등 전반적으로 기업 경쟁력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매출도 평균 7.7% 증가하고 고용도 업체당 평균 3명 증가했다. 반면 산업재해는 18.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성과는 소규모 기업일수록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10인 미만 소규모 기업의 경우 생산성이 39% 높아져 전체 평균(30%)을 웃돌았고, 원가도 31.2% 감소해 평균(15.9%)보다 2배 가량 효과가 컸다. 또한 이들 기업은 고용증가율이 84.9%에 달해 전체 평균 4.2%를 크게 웃돌았다.
업종별로도 소규모 기업의 비중이 높은 식료품 제조업, 목재 제조업 등의 성과가 대체로 컸다. 도입 수준별로는 78.7%인 레벨 1~2(기초) 수준의 기업이 생산성 향상 효과가 가장 컸다.
중기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로 스마트공장 보급사업의 높은 성과를 재확인했다"며 "소규모 기업에 대한 스마트공장 저변 확대와 함께 고도화된 공장을 구축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찬동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