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세계 15위의 경제 대국, 금융위기를 가장 먼저 이겨낸 나라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빈곤의 벽을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1인 가구와 65세 이상 노인은 절반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습니다.
이혁준 기자입니다.
【 기자 】
서울 강남 부촌인 타워팰리스 바로 옆 구룡마을.
노인과 일용직 근로자가 사는 무허가 판자촌이 밀집해 있습니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니 20년째 빚에 허덕이고,
▶ 인터뷰 : 이 모 씨 / 일용직 근로자
- "빈곤은 나라님도 소용없다잖아, 현장 근로자로 일해서 애들 등록금을 어떻게 대냐고."
혼자 사는 노인은 끼니 떼우기도 어렵습니다.
▶ 인터뷰 : 최 모 씨 / 82살 노인
- "지금이 제일 힘들 때지, 추우니까."
▶ 스탠딩 : 이혁준 / 기자
- "사정이 이렇다 보니 6명 가운데 1명은 빈곤의 늪에서 헤어나오질 못하고 있습니다."
빈곤층을 나누는 기준인 연소득 998만 원은 넘기 힘든 벽입니다.
청소 용역 업체에서 일하는 김 모 씨는 하루 12시간을 일하고도 손에 쥐는 돈이 월 80만 원가량밖에 안 됩니다.
▶ 인터뷰 : 김 모 씨 / 청소 용역 근로자
- "아들이 실직해서 놀고 있으니까 생활에 여유가 없죠. 물가가 너무 비싸니까."
가구소득별로 다섯 구간으로 나눠 비교하니 최고와 최저 차이는 13배, 그나마 정부의 지원으로 빈곤층을 줄이려 하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 인터뷰 : 이상엽 /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새 정부는 좀 더 적극적인 소득 재분배 정책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전제 조건은 건전한 재정 유지입니다. 사회적 합의와 속도조절도 필요합니다."
장밋빛 복지 공약이 아니라 가난한 사람도 보듬는 실천이 절실한 대한민국입니다.
MBN뉴스 이혁준입니다.
세계 15위의 경제 대국, 금융위기를 가장 먼저 이겨낸 나라라는 말이 무색할 만큼 빈곤의 벽을 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1인 가구와 65세 이상 노인은 절반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습니다.
이혁준 기자입니다.
【 기자 】
서울 강남 부촌인 타워팰리스 바로 옆 구룡마을.
노인과 일용직 근로자가 사는 무허가 판자촌이 밀집해 있습니다.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니 20년째 빚에 허덕이고,
▶ 인터뷰 : 이 모 씨 / 일용직 근로자
- "빈곤은 나라님도 소용없다잖아, 현장 근로자로 일해서 애들 등록금을 어떻게 대냐고."
혼자 사는 노인은 끼니 떼우기도 어렵습니다.
▶ 인터뷰 : 최 모 씨 / 82살 노인
- "지금이 제일 힘들 때지, 추우니까."
▶ 스탠딩 : 이혁준 / 기자
- "사정이 이렇다 보니 6명 가운데 1명은 빈곤의 늪에서 헤어나오질 못하고 있습니다."
빈곤층을 나누는 기준인 연소득 998만 원은 넘기 힘든 벽입니다.
청소 용역 업체에서 일하는 김 모 씨는 하루 12시간을 일하고도 손에 쥐는 돈이 월 80만 원가량밖에 안 됩니다.
▶ 인터뷰 : 김 모 씨 / 청소 용역 근로자
- "아들이 실직해서 놀고 있으니까 생활에 여유가 없죠. 물가가 너무 비싸니까."
가구소득별로 다섯 구간으로 나눠 비교하니 최고와 최저 차이는 13배, 그나마 정부의 지원으로 빈곤층을 줄이려 하고 있지만 역부족입니다.
▶ 인터뷰 : 이상엽 /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새 정부는 좀 더 적극적인 소득 재분배 정책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전제 조건은 건전한 재정 유지입니다. 사회적 합의와 속도조절도 필요합니다."
장밋빛 복지 공약이 아니라 가난한 사람도 보듬는 실천이 절실한 대한민국입니다.
MBN뉴스 이혁준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