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년 동안 한 악기만을 다루는 음악가들에게도 고충은 있다. 천부적인 재능을 알고 시작한 경우에도 같은 일을 지속하는 것은 쉽지 않다. 시작이 타의에 의한 것이라면 그 고충의 크기는 더욱 커진다.
"처음 활을 잡았을 때는 정말 싫었어요. 버거웠던 거 같아요. 활동적인 걸 좋아해서 운동 선수를 꿈꿨었거든요. 가만히 앉아서 저보다 큰 악기를 몸에 기대고 팔만 휘젓는 것 자체가 답답했었던 것 같아요."
첼리스트 박유신(32)은 6살 때부터 피아노를 쳤고 한때 바이올린도 배웠다. 하지만 그가 평생 안고온 악기는 첼로였다. 13살 때 처음 움켜진 첼로는 체구가 작았던 그에게 불편하기만 했다.
"부모님께서 첼로 선율이 가장 듣기 좋으셨나봐요(웃음). 입시 준비하는 6년 동안은 '이걸 왜 해야하나'는 생각만 했던 거 같아요. 그냥 해야하니까 했던 것 같아요. 대학에 들어가고서야 내가 진짜 음악을 사랑한다는 걸 알게됐죠."
![](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22/03/17/122401702001.jpg)
박유신은 지난 11일 발매한 첫 솔로 음반 'Dichterliebe(시인의 사랑)'에 첼로 선율로 슈만의 연가곡 '시인의 사랑'을 담았다. 한국에서 첼로로 이 곡을 녹음한 음반은 이번이 처음이다. 가곡을 좋아한다는 박유신은 슈만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5개의 민요풍 소품과 브람스의 첼로 소나타 제1번 마단조도 음반에 담았다.
![](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22/03/17/261232201022.jpg)
"공부를 정말 많이 했어요. 가곡을 첼로로 표현하는게 쉬운 일은 아니었거든요. '시인의 사랑'과 관련된 책도 많이 읽고 감정을 만들었죠. 코로나19 때문에 녹음이 미뤄졌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곡에 더 심취할 수 있는 시간을 얻은 거 같아요."
성격유형검사(MBTI)에서 외향적이면서 열정적인 성향으로 분류된 박유신은 '어텀 실내악 페스티벌'과 '포항음악제' 예술감독으로 활동하며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
박유신은 첫 앨범 발매를 기념해 부산 부산문화회관 챔버홀(19일)과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22일)에서 독주회를 연다.
"이번 앨범을 한 단어로 표현하면 '사랑'인 거 같아요. 슈만이 결혼하기 직전 가장 사랑에 빠져있을 때 쓴 곡이기도 하고요. 음악을 사랑하는 제 마음이 담긴 앨범과 공연이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졌으면 좋겠어요."
[박대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