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부가 북한이 빌린 800억 원이 넘는 돈을 갚으라고 했는데, 아직 북한은 묵묵부답입니다.
800억 원뿐 아니라 북한에 빌려준 돈이 1조 원이 넘는데 받아낼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은 없습니다.
김지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우리 정부는 북한과 8천만 달러, 우리 돈 860억 원 규모의 경공업 원자재 차관 제공에 합의했습니다.
폴리에스터 원단 등 의복과 신발, 비누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자재를 주고, 북한의 지하자원 개발권과 현물을 나눠 받는 조건이었습니다.
5년 거치 기간이 끝나면서 북한은 당장 다음 주 월요일부터 매년 원리금 92억 5천만 원을 갚아야 합니다.
우리 정부가 돈을 갚으라고 통보했지만, 아직 답이 없습니다.
▶ 인터뷰 : 김의도 / 통일부 대변인
- "3월 24일 상환여부를 확인한 다음에 정부는 북한이 연체가 확인이 되면 3월 25일자로 상환 촉구를 할 계획임을 말씀드립니다."
문제는 북한이 갚지 않아도 독촉을 하는 것 말곤 뾰족한 수단이 없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조봉현 /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합의 조건에 따라서 연체이자 등을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북한에 대한 대화제의를 통해서 상환조치 연장 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여기에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시절 제공한 식량 차관도 원금과 이자를 더해 9천4백억 원 가량이지만 북한은 2012년 1차 상환 때부터 한 푼도 갚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이 우리 정부에 직접 갚아야 할 돈은 원금과 이자를 합쳐 1조 원, 국민의 세금으로 빌려줬지만 돌려받을 방법은 요원합니다.
MBN뉴스 김지훈입니다.
정부가 북한이 빌린 800억 원이 넘는 돈을 갚으라고 했는데, 아직 북한은 묵묵부답입니다.
800억 원뿐 아니라 북한에 빌려준 돈이 1조 원이 넘는데 받아낼 수 있는 뾰족한 방법은 없습니다.
김지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우리 정부는 북한과 8천만 달러, 우리 돈 860억 원 규모의 경공업 원자재 차관 제공에 합의했습니다.
폴리에스터 원단 등 의복과 신발, 비누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원자재를 주고, 북한의 지하자원 개발권과 현물을 나눠 받는 조건이었습니다.
5년 거치 기간이 끝나면서 북한은 당장 다음 주 월요일부터 매년 원리금 92억 5천만 원을 갚아야 합니다.
우리 정부가 돈을 갚으라고 통보했지만, 아직 답이 없습니다.
▶ 인터뷰 : 김의도 / 통일부 대변인
- "3월 24일 상환여부를 확인한 다음에 정부는 북한이 연체가 확인이 되면 3월 25일자로 상환 촉구를 할 계획임을 말씀드립니다."
문제는 북한이 갚지 않아도 독촉을 하는 것 말곤 뾰족한 수단이 없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조봉현 / IBK경제연구소 연구위원
- "합의 조건에 따라서 연체이자 등을 부여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북한에 대한 대화제의를 통해서 상환조치 연장 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여기에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시절 제공한 식량 차관도 원금과 이자를 더해 9천4백억 원 가량이지만 북한은 2012년 1차 상환 때부터 한 푼도 갚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이 우리 정부에 직접 갚아야 할 돈은 원금과 이자를 합쳐 1조 원, 국민의 세금으로 빌려줬지만 돌려받을 방법은 요원합니다.
MBN뉴스 김지훈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