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남우정 기자] 국내에선 일본 만화와 드라마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 물밀 듯 쏟아지기 시작했다. 한국의 창작물인 소설, 만화도 드라마로 재탄생하게 됐다. 하지만 시장이 포화 상태가 되면서 원작이 있는 작품도 예전만한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했고 시청률도 안정적인 상태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또 다시 일본 만화를 원작으로 한 ‘노다메 칸타빌레’가 국내에 착륙했다. 일본 드라마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름은 들어봤을 ‘노다메 칸타빌레’는 드라마에 이어 영화까지 제작될 만큼 화제작이다. 하지만 국내 리메이크엔 반대하는 목소리가 많다. 일본 특유의 유머 코드와 문화가 강한 작품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각색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이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다메 칸타빌레’의 제작을 결정했다. 워낙 원작 인기가 대단했던 작품이니만큼 많은 제작사에서 러브콜을 보냈고 만화 원작의 판권을 지닌 고단샤의 꼼꼼한 선택은 결국 그룹 에이트가 거머쥔 것으로 알려졌다.
원작과의 비교는 당연, 시작 전부터 캐스팅 논란이 일어나는 위험수를 두고도 제작사가 원작이 있는 작품을 제작하는 것은 그만큼 인기가 보장된다는 안정성이 가장 큰 이유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말처럼 순수 창작물을 만들어 내긴 힘들고 가시밭길이기 때문이다.
한 드라마 관계자는 MBN스타에 “아무래도 원작이 있는 작품의 판권을 구매할 땐 어느 정도 성공한 작품을 사오는 게 당연하다. 성공한 케이스다 보니 확신이 있다. 국내에서 구매한 일본 드라마 판권만 보더라도 시청률이 어느 정도 나오고 캐릭터에 대한 평가가 좋다. 아시아권 드라마는 서로 리메이크 하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에 쉽게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성공 케이스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된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방송 관계자는 “제작사는 원작이 매력있고 콘텐츠만으로도 파급력이 있다면 구매를 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일본 작품들이 리메이크되기 쉬운 것은 일본의 만화들의 소재가 다양하고 드라마로 만들 수 있는 요소들이 들어있다. 제작사는 좋은 콘텐츠를 먼저 확보해야 하고 기본적으로 팬층도 보장되어 있고 브랜드 네임, 인지도 부분에서도 증명되어 있으니 구매하는 것이 당연하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제작사들의 공통된 입장은 원작이 있는 작품을 재탄생 시키는 작업 자체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해당 관계자는 “단순히 원작 있는 작품인 인지도가 있기 때문에 그것만 기대하고 구매하진 않는다. 원작을 사서 제작한다고 해도 시청률도 안 나오고 공감을 못 얻는 경우도 있다. 원작의 매력을 살리지 못하면 오히려 마이너스다. 물론 창작 개발을 하면 좋겠지만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대중들은 원작이 있는 작품을 비창작적이고 수고 없이 만든다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그런 제작사는 없다. 오히려 원작이 훌륭하기 때문에 훼손을 시키지 않아야 하고 원작 자체의 매력을 살리고 퀄리티를 높여야 해서 더 고민하고 부담감을 안고 간다. 특히 각색 작가가 아니기 때문에 원작의 색을 살리면서 드라마로 재미있게 만드는 작업이 힘들다”라고 나름의 고충을 설명했다.
성신여대 김정섭 교수는 “스토리텔링 시대에 완결성이 확보되어 있는 작품이 드라마로 제작될 수 있다. 유명 만화, 소설은 물론 게임도 새롭게 탄생되고 있는데 우리 정서로 끌고 가져가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며 “현재 일본 드라마를 넘어서 대만 드라마까지 리메이크 되고 있는데 중국, 대만 쪽에서 한류가 정점에 있기에 그런 것을 염두해 두고 캐스팅, 제작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렇듯 원작을 재탄생하는 작품들의 영역이 국가, 장르적으로도 넓혀지는 것에 대해 김 교수는 “하늘아래 새로운 것을 찾기에 힘들고 순수한 창작품이 굉장히 힘이 없고 한계가 있다. 창작물이라고 안방극장에 안 맞는 경우가 있고 맞더라도 어디서 본 듯한 이야기인 경우도 많다. 결국은 다양성이 소통되는 현상이다. 이런 현상이 어느 한 쪽으로 몰리게 됐을 때 트랜드로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남우정 기자 ujungnam@mkculte.com /트위터 @mkculture
그럼에도 또 다시 일본 만화를 원작으로 한 ‘노다메 칸타빌레’가 국내에 착륙했다. 일본 드라마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름은 들어봤을 ‘노다메 칸타빌레’는 드라마에 이어 영화까지 제작될 만큼 화제작이다. 하지만 국내 리메이크엔 반대하는 목소리가 많다. 일본 특유의 유머 코드와 문화가 강한 작품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각색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이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다메 칸타빌레’의 제작을 결정했다. 워낙 원작 인기가 대단했던 작품이니만큼 많은 제작사에서 러브콜을 보냈고 만화 원작의 판권을 지닌 고단샤의 꼼꼼한 선택은 결국 그룹 에이트가 거머쥔 것으로 알려졌다.
원작과의 비교는 당연, 시작 전부터 캐스팅 논란이 일어나는 위험수를 두고도 제작사가 원작이 있는 작품을 제작하는 것은 그만큼 인기가 보장된다는 안정성이 가장 큰 이유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말처럼 순수 창작물을 만들어 내긴 힘들고 가시밭길이기 때문이다.
한 드라마 관계자는 MBN스타에 “아무래도 원작이 있는 작품의 판권을 구매할 땐 어느 정도 성공한 작품을 사오는 게 당연하다. 성공한 케이스다 보니 확신이 있다. 국내에서 구매한 일본 드라마 판권만 보더라도 시청률이 어느 정도 나오고 캐릭터에 대한 평가가 좋다. 아시아권 드라마는 서로 리메이크 하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에 쉽게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성공 케이스에 대한 신뢰가 바탕이 된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방송 관계자는 “제작사는 원작이 매력있고 콘텐츠만으로도 파급력이 있다면 구매를 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일본 작품들이 리메이크되기 쉬운 것은 일본의 만화들의 소재가 다양하고 드라마로 만들 수 있는 요소들이 들어있다. 제작사는 좋은 콘텐츠를 먼저 확보해야 하고 기본적으로 팬층도 보장되어 있고 브랜드 네임, 인지도 부분에서도 증명되어 있으니 구매하는 것이 당연하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제작사들의 공통된 입장은 원작이 있는 작품을 재탄생 시키는 작업 자체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해당 관계자는 “단순히 원작 있는 작품인 인지도가 있기 때문에 그것만 기대하고 구매하진 않는다. 원작을 사서 제작한다고 해도 시청률도 안 나오고 공감을 못 얻는 경우도 있다. 원작의 매력을 살리지 못하면 오히려 마이너스다. 물론 창작 개발을 하면 좋겠지만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성신여대 김정섭 교수는 “스토리텔링 시대에 완결성이 확보되어 있는 작품이 드라마로 제작될 수 있다. 유명 만화, 소설은 물론 게임도 새롭게 탄생되고 있는데 우리 정서로 끌고 가져가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며 “현재 일본 드라마를 넘어서 대만 드라마까지 리메이크 되고 있는데 중국, 대만 쪽에서 한류가 정점에 있기에 그런 것을 염두해 두고 캐스팅, 제작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렇듯 원작을 재탄생하는 작품들의 영역이 국가, 장르적으로도 넓혀지는 것에 대해 김 교수는 “하늘아래 새로운 것을 찾기에 힘들고 순수한 창작품이 굉장히 힘이 없고 한계가 있다. 창작물이라고 안방극장에 안 맞는 경우가 있고 맞더라도 어디서 본 듯한 이야기인 경우도 많다. 결국은 다양성이 소통되는 현상이다. 이런 현상이 어느 한 쪽으로 몰리게 됐을 때 트랜드로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남우정 기자 ujungnam@mkculte.com /트위터 @mkculture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