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 지자체와 정부, 기업이 손을 맞잡고 '농촌유토피아' 선도마을 건설을 추진합니다.
농촌유토피아연구소는 어제(13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농촌유토피아 선도마을 3.0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식은 장태평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과 전남 곡성, 충북 괴산 등 7곳의 지차제장이 참석했습니다.
농촌유토피아 선도마을은 인구증가, 식량자립, 재정자립 등을 지향하며, 주거와 일자리, 경제,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립을 추구하는 50호 내외의 신규마을을 의미합니다.
▶ 인터뷰 : 임기철 / 농촌유토피아 선도마을 위원장
- "디지털 기술을 농산어촌의 산업에 입히고 주거에서부터 생산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경영을 비롯한 생산성의 혁신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는 이른바 농업혁신형 유토피아의 정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장명훈 기자 / jmh07@mbn.co.kr ]
농촌유토피아연구소는 어제(13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농촌유토피아 선도마을 3.0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식은 장태평 대통령 직속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장과 전남 곡성, 충북 괴산 등 7곳의 지차제장이 참석했습니다.
농촌유토피아 선도마을은 인구증가, 식량자립, 재정자립 등을 지향하며, 주거와 일자리, 경제,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립을 추구하는 50호 내외의 신규마을을 의미합니다.
▶ 인터뷰 : 임기철 / 농촌유토피아 선도마을 위원장
- "디지털 기술을 농산어촌의 산업에 입히고 주거에서부터 생산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경영을 비롯한 생산성의 혁신을 통해 자생력을 확보하는 이른바 농업혁신형 유토피아의 정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장명훈 기자 / jmh07@mbn.co.kr ]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