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신욱 통계청장은 30일 기존의 고용률, 실업률 등 일자리의 양적 규모 측정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의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고용의 질' 지표체계 구축을 추진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강 청장은 이날 서울 르메르디앙 호텔에서 열린 제8회 국가통계발전포럼 개회사에서 "고용안정성과 근로조건, 일과 삶의 조화 등의 질적 지표를 발굴했고, 행정자료와 조사자료 등 다양한 데이터를 결합해 이를 측정할 계획"이라며 "연내 관계부처, 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해 지표체계 구축방안 등을 논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초저출산 문제에 적시성 있게 대응하기 위해 장래인구추계 주기를 기존 5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내년 3월에는 특별추계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초저출산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 출산, 육아, 교육, 고용 등 다양한 영역에 발 빠르게 정책적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 청장은 "그동안 국가통계 생산방식이 현장조사 위주였다면 앞으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행정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연계·활용해 시의성 있고 보다 정확한 통계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국가통계포털 서비스를 확충하고 청년, 은퇴자 등 개인별 맞춤형 일자리 정보를 제공하는 일자리 맵 콘텐츠를 개발하는 등 이용자 중심의 통계정보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