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이라크 사태로 우리 기업 및 현지에 나가있는 한국인들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줄이기 위해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사업지연 우려가 있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법적 보호장치 검토작업에 들어갔고, 이라크 위험지역에 있는 기업인들을 안전지역으로 이동토록 권유하고 있다.
19일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현재 이라크에는 현대건설, 대우건설, 한화건설 등 22개 건설업체를 비롯해 협력업체 등 80여개 우리 기업이 진출해 있다. 또 이들 업체에 소속된 우리 국민 1300여명이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내전에서 비교적 안전한 남부지역에서 진행되는 민간 건설 사업들은 대부분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산업통상자원부는 밝혔다. 다만, 정부는 사우디-시리아 접경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가스공사의 아카스 가스전 사업지연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공기업 구조조정 방안으로 이 가스전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어 악재가 겹쳤다. 정부는 이 가스전 개발이 더딜 경우를 대비한 법적 보호장치를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위협 프로젝트인 하울러 광구(석유공사 지분 15%)의 경우 강력한 시설보호 요청을 쿠르드 자치정부에 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하울러 광구의 경우 이번 내전으로 쿠르드 자치정부의 힘이 강해지면 오히려 중앙정부의 간섭이 덜해져서 자금순환이 원활해 지는 긍정적 효과도 기대된다.
외교부는 이라크 내 위험 지역에 있는 기업인들을 안전지역으로 이동하도록 권유하고 여행금지구역인 이라크에 대한 여권사용 허가 절차를 당분간 중단하기로 했다. 또 이미 허가증을 받은 사람도 이라크에 가지 않도록 각 기업에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외교부는 이날 현재 위험지역에 머물고 있는 우리 국민은 없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라크 내 위험 지역에 있는 4개 기업 소속 24명의 우리 국민이 지난 13~15일 정부 권유에 따라 아르빌이나 바그다드와 같은 안전지역으로 대피하거나 한국으로 귀국했다"고 설명했다. 외교부는 이라크 내전 불확실성이 높은 상태로 전면철수로 번질 가능성도 대비해 계획을 세우고 있다. 정부는 만일에 민간교통수단이 끊길경우 비상탈출을 해야 해서 주변국에 협조요청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부는 정작 이라크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기업 참여 프로젝트의 종합적 규모파악도 이뤄지지 않는 등 현지정보 수집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대부분의 건설 프로젝트들이 이라크 남부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어 사업에 큰 영향이 없다"면서도 개별적인 프로젝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자료수집이 다 이뤄지지 못했다"고 답했다.
[김기정 기자 / 신현규 기자 / 우제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