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된 흙이나 지하수를 정화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나노입자가 실제로는 오히려 미생물의 생장을 방해해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장윤석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연구진은 환경정화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철 기반의 나노입자가 미생물의 세포를 손상시키는 것을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구제역과 조류 바이러스 등으로 가축의 살처분과 매립이 진행되면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토양과 지하수의 정화를 위해 인간이 만든 나노입자가 대량으로 사용된다. 나노입자는 오염물질에 달라붙어 분해한다. 하지만 나노입자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했다.
연구진은 대장균을 이용해 환경 정화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철 기반의 나노입자가 미생물의 생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했다. 그 결과 나노입자가 미생물 표면에 붙어 압력을 가함으로써 세포를 손상시켜 생장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했다.
장 교수는 "환경정화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나노소재에 대한 실질적인 위해성 여부를 제공함으로써 나노기술의 실용화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며 "각 촉매들이 미생물의 생장을 어떻게 억제하는지 밝혀낸 결과를 바탕으로 환경과 생체에 무해한 저독성 엔지니어링 나노소재를 설계하고 대량생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영국 왕립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환경과학' 저널 6월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