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세계적 철강기업인 포스코가 시끄럽습니다.
정권 교체 시기마다 외풍에 시달렸던 포스코, 올해도 회장 선임 문제를 놓고 파열음이 나오고 있는데요, 흔들리는 포스코. 무엇이 문제인지 김태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 인터뷰 : 이상규 / 직장인
- "결정적인 부분은 민간기업에서 알아서 할 수 있도록 놔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인터뷰 : 문진호 / 직장인
- "성격은 민간기업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과거에 관 주도로 했던 그런 흔적이 분명히 남아 있습니다."
▶ 스탠딩 : 김태일 / 기자
- "시민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더니 대부분의 시민이 민간기업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포스코의 역대 회장들은 정권과 그 괘를 같이 하는 모습이 발견됩니다.
김대중 정부 때는 김만제 회장이,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유상부 회장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물러났습니다.
이구택 회장 역시 양호한 경영 실적을 올렸음에도 2009년 물러나야 했습니다.
고 박태준 회장 이후 5명의 회장 중 임기를 채운 이는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현 정부 말기, 이런저런 송사에 휘말리는 정준양 회장도 예외는 아닙니다.
민간기업 포스코는 왜 정권의 입김에 좌우되는 걸까?
전문가들은 지분구조에 그 답이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 인터뷰 : 김선웅 /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소장
- "주주들은 사실 매각 차익이라든지 단순 투자에만 관심이 있지 경영에는 관심이 없고. 그러다보니까 정부의 영향력 자체가 주주들보다는 더 커지고…."
대기업 중 사외이사제도를 최초로 도입하고 CEO 후보추천위원회까지 만든 포스코.
이제라도 외압에 흔들리지 않는 민간기업다운 민간기업으로 커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MBN뉴스 김태일입니다.
세계적 철강기업인 포스코가 시끄럽습니다.
정권 교체 시기마다 외풍에 시달렸던 포스코, 올해도 회장 선임 문제를 놓고 파열음이 나오고 있는데요, 흔들리는 포스코. 무엇이 문제인지 김태일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 인터뷰 : 이상규 / 직장인
- "결정적인 부분은 민간기업에서 알아서 할 수 있도록 놔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인터뷰 : 문진호 / 직장인
- "성격은 민간기업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과거에 관 주도로 했던 그런 흔적이 분명히 남아 있습니다."
▶ 스탠딩 : 김태일 / 기자
- "시민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더니 대부분의 시민이 민간기업 자율에 맡겨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포스코의 역대 회장들은 정권과 그 괘를 같이 하는 모습이 발견됩니다.
김대중 정부 때는 김만제 회장이,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유상부 회장이 자의 반 타의 반으로 물러났습니다.
이구택 회장 역시 양호한 경영 실적을 올렸음에도 2009년 물러나야 했습니다.
고 박태준 회장 이후 5명의 회장 중 임기를 채운 이는 단 한 명도 없었습니다.
현 정부 말기, 이런저런 송사에 휘말리는 정준양 회장도 예외는 아닙니다.
민간기업 포스코는 왜 정권의 입김에 좌우되는 걸까?
전문가들은 지분구조에 그 답이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 인터뷰 : 김선웅 / 좋은기업지배구조연구소 소장
- "주주들은 사실 매각 차익이라든지 단순 투자에만 관심이 있지 경영에는 관심이 없고. 그러다보니까 정부의 영향력 자체가 주주들보다는 더 커지고…."
대기업 중 사외이사제도를 최초로 도입하고 CEO 후보추천위원회까지 만든 포스코.
이제라도 외압에 흔들리지 않는 민간기업다운 민간기업으로 커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MBN뉴스 김태일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