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사태로 올해 우유 생산량이 수요보다 23만 톤 이상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구제역으로 3만 4천 마리의 젖소가 살처분되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8% 줄어든 190만 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농식품부는 특히, 분유와 제과, 제빵 등에 쓰는 원료유와 개학 후 학교 급식용 우유 공급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분유와 버터 등 저율관세가 적용되는 시장접근 물량을 조기에 도입하고, 분유 9천 톤을 상반기에 무관세로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농가별 우유생산 쿼터를 한시적으로 늘리는 등, 우유 잉여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시행해 왔던 감축정책을 증산정책으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구제역으로 3만 4천 마리의 젖소가 살처분되면서 우유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8% 줄어든 190만 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농식품부는 특히, 분유와 제과, 제빵 등에 쓰는 원료유와 개학 후 학교 급식용 우유 공급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분유와 버터 등 저율관세가 적용되는 시장접근 물량을 조기에 도입하고, 분유 9천 톤을 상반기에 무관세로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또, 농가별 우유생산 쿼터를 한시적으로 늘리는 등, 우유 잉여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시행해 왔던 감축정책을 증산정책으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