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반도체 대표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가 D램 가격 하락에 따른 향후 업황 둔화에 대한 우려로 11일 크게 하락하며 올해 들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전날에 비해 2.12%, 6.22% 내린 7만8500원, 10만5500원에 마감했다. 삼성전자는 6거래일 만에 8만원 선을 내줬고, SK하이닉스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주가 수준을 기록하며 10만원을 위협받고 있다. 이날 외국인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모두 집중 순매도하며 주가를 끌어내렸다. 외국인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각각 1조426억원, 6768억원 순매도했고, 기관은 각각 1184억원, 543억원 순매도했다. 올해 들어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1조원 규모로 순매도한 것은 5월 12일 이후 두 번째다. 이날 외국인의 SK하이닉스 순매도 규모는 올해 들어 최대 수준이다. 이날 외국인 순매도 1, 2위 종목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였다.
전날 밤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2% 하락했고, 미국의 대표 반도체업체인 마이크론은 5.36% 내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주요 반도체 업체 주가가 힘을 받지 못한 이유는 D램 현물가격 하락이 주원인으로 풀이된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8GB 모듈 고정거래가격이 35달러 수준인 데 반해 현물가격은 30달러까지 하락했다.
D램 현물가는 고정가를 2~3개월 선행하며 반도체 업황과 반도체 회사 실적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지고 고정가보다 높은 게 일반적이다. 현물가가 고정가를 밑돌기 시작하면 향후 고정가도 하락하고 결국 반도체 회사 실적이 악화될 수 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최근 3분기 고정가격 상승과 현물가격 하락이 동시에 발생하며 일부 주력 D램 제품 현물가격이 고정가격을 하회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며 "만약 향후 현물가격 하락이 좀 더 이어지고 모듈 업체들 이익실현 물량이 시장에 나오기 시작한다면 현물가격 급락과 이를 반영한 고정가격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비교적 안정적인 하락세를 보이던 D램 현물가격의 하락 기울기가 이번주 들어 급해지기 시작했다"며 "고정가격 대비 현물가격의 프리미엄도 어느새 사라지기 일보 직전으로 올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 가격 하락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향후 반도체 수요가 줄 것이란 우려가 커진 점도 주가 하락 이유로 보인다. D램 수요는 부문별로 스마트폰 40%대, 서버 30%대, PC(노트북컴퓨터 포함) 10%대 등이다. 세계 최대 스마트폰시장인 중국의 지난 6월 스마트폰 출하량은 2520만대로 최근 9년 중 최저 수준으로 부진한 데다 올 3분기 중국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분기와 비교했을 경우 18%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서버의 주요 수요처인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IDC(인터넷데이터센터)업체들의 내년 설비투자(CAPEX) 규모 증가율은 8.9%로 전망되며 2020년 27.2%, 올해 추정치 16.6%에 비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를 웃돌았던 서버 출하량 증가율이 올해 10%를 밑돌고, 내년에는 이보다 더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반도체 업황 부진 우려에도 장기적으로 반도체주 투자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수석연구위원은 "메모리 반도체 업종의 피크아웃 논란에도 지난 7월 한국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6% 늘며 견조했다"며 "대만의 7월 전자부품(반도체 포함) 수출도 전년 동기비 33.6% 늘며 양호했는데 양국의 전자부품 수출 데이터가 양호해 반도체 업종 투자심리가 긍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우 연구원은 "반도체 업체들 실적은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주가는 힘이 없기 만하다"며 "시장은 내년 상반기 리스크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결국 메모리 업체에 대해 후한 밸류에이션을 주기 어려운 국면으로 주가 반등을 위해서는 출하 회복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즉, 단기적으로 투자심리가 악화되는 만큼 실적과 주가 사이에 괴리가 좁혀지기까지 시간을 두고 장기적으로 투자에 임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날 국내 증시는 코스피가 0.7% 내린 3220.62에 마감했고 코스닥은 0.01% 하락한 1051.92에 거래를 마쳤다.
[강봉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전날에 비해 2.12%, 6.22% 내린 7만8500원, 10만5500원에 마감했다. 삼성전자는 6거래일 만에 8만원 선을 내줬고, SK하이닉스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주가 수준을 기록하며 10만원을 위협받고 있다. 이날 외국인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모두 집중 순매도하며 주가를 끌어내렸다. 외국인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각각 1조426억원, 6768억원 순매도했고, 기관은 각각 1184억원, 543억원 순매도했다. 올해 들어 외국인이 삼성전자를 1조원 규모로 순매도한 것은 5월 12일 이후 두 번째다. 이날 외국인의 SK하이닉스 순매도 규모는 올해 들어 최대 수준이다. 이날 외국인 순매도 1, 2위 종목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였다.
전날 밤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2% 하락했고, 미국의 대표 반도체업체인 마이크론은 5.36% 내렸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포함한 주요 반도체 업체 주가가 힘을 받지 못한 이유는 D램 현물가격 하락이 주원인으로 풀이된다. 하이투자증권에 따르면 8GB 모듈 고정거래가격이 35달러 수준인 데 반해 현물가격은 30달러까지 하락했다.
D램 현물가는 고정가를 2~3개월 선행하며 반도체 업황과 반도체 회사 실적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지고 고정가보다 높은 게 일반적이다. 현물가가 고정가를 밑돌기 시작하면 향후 고정가도 하락하고 결국 반도체 회사 실적이 악화될 수 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최근 3분기 고정가격 상승과 현물가격 하락이 동시에 발생하며 일부 주력 D램 제품 현물가격이 고정가격을 하회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며 "만약 향후 현물가격 하락이 좀 더 이어지고 모듈 업체들 이익실현 물량이 시장에 나오기 시작한다면 현물가격 급락과 이를 반영한 고정가격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비교적 안정적인 하락세를 보이던 D램 현물가격의 하락 기울기가 이번주 들어 급해지기 시작했다"며 "고정가격 대비 현물가격의 프리미엄도 어느새 사라지기 일보 직전으로 올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 가격 하락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향후 반도체 수요가 줄 것이란 우려가 커진 점도 주가 하락 이유로 보인다. D램 수요는 부문별로 스마트폰 40%대, 서버 30%대, PC(노트북컴퓨터 포함) 10%대 등이다. 세계 최대 스마트폰시장인 중국의 지난 6월 스마트폰 출하량은 2520만대로 최근 9년 중 최저 수준으로 부진한 데다 올 3분기 중국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분기와 비교했을 경우 18%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서버의 주요 수요처인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IDC(인터넷데이터센터)업체들의 내년 설비투자(CAPEX) 규모 증가율은 8.9%로 전망되며 2020년 27.2%, 올해 추정치 16.6%에 비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지난해 10%를 웃돌았던 서버 출하량 증가율이 올해 10%를 밑돌고, 내년에는 이보다 더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반도체 업황 부진 우려에도 장기적으로 반도체주 투자는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수석연구위원은 "메모리 반도체 업종의 피크아웃 논란에도 지난 7월 한국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6% 늘며 견조했다"며 "대만의 7월 전자부품(반도체 포함) 수출도 전년 동기비 33.6% 늘며 양호했는데 양국의 전자부품 수출 데이터가 양호해 반도체 업종 투자심리가 긍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우 연구원은 "반도체 업체들 실적은 더할 나위 없이 좋지만 주가는 힘이 없기 만하다"며 "시장은 내년 상반기 리스크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결국 메모리 업체에 대해 후한 밸류에이션을 주기 어려운 국면으로 주가 반등을 위해서는 출하 회복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를 확인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즉, 단기적으로 투자심리가 악화되는 만큼 실적과 주가 사이에 괴리가 좁혀지기까지 시간을 두고 장기적으로 투자에 임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날 국내 증시는 코스피가 0.7% 내린 3220.62에 마감했고 코스닥은 0.01% 하락한 1051.92에 거래를 마쳤다.
[강봉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