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대형 A저축은행이 대출 모집인에게 주는 햇살론 수수료를 3%대로 훌쩍 올렸다. 당초 햇살론 모집 수수료율은 2%대에 형성돼 있었다. 모집 수수료가 올라가자 대출 모집인들이 A저축은행으로 대거 이탈했고 이를 잡기 위해 다른 저축은행들도 잇따라 수수료 인상 전쟁에 뛰어들었다. 수수료 1%포인트 차이로 수익이 갈리는 중소형 저축은행으로선 타격이었다.
한 지방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 저축은행들이 수수료를 3%대로 올리면서 대출 모집 수수료가 상향 평준화됐다"며 "햇살론은 대출금리 상한선이 정해져 있어 사실상 남는 게 없다"고 했다. 햇살론 금리 7~9%에 저축은행 조달금리와 예금보험료, 모집 수수료 등을 빼고 나면 사실상 제로 마진이라는 설명이다.
저축은행들 사이에서 정책금융 상품인 햇살론을 확대하기 위한 출혈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대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대출 모집인에게 주는 수수료를 올려 고객을 모집하고 중소형 저축은행들은 이에 맞서는 뺏고 뺏기는 경쟁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23일 대출모집인 포탈사이트에 따르면 저축은행 신용대출(햇살론 등 포함) 수수료율은 3.32%로 수수료율이 가장 낮은 신협(0.3%)보다 11배 이상 차이가 났다. 여신금융사 신용대출 수수료율이 2.89%로 저축은행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은행이 1.28%였다.
저축은행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직장인 햇살론 취급액도 증가했다. 지난해 1~11월 1조7931억원이었던 누적 취급액은 올해 같은 기간 2조2347억원으로 24.6% 증가했다. 수수료율 인상에 앞장섰던 한 대형 저축은행은 올해 1~11월 누적 햇살론 취급액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나 늘렸다.
저축은행들이 햇살론 고객을 끌어들이는 이유는 서민금융진흥원이나 신용보증지역재단에서 대출금의 90% 보증을 서기 때문에 부실이 나더라도 돈을 떼일 우려가 적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도입될 예대율(예금-대출 비율) 규제도 저축은행들이 햇살론 고객 모시기에 열을 올리는 이유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예대율 산정 시 정책자금대출을 대출액에서 빼주기로 했다.
지방 경기 악화에 햇살론 등 정책금융 상품으로 간신히 영업을 해오던 중소형 저축은행에선 볼멘소리가 나온다. 지방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방 경제도 어려운 상황에서 대형 저축은행들이 햇살론마저 가져가버려 수익을 늘릴 수단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금융위원회는 햇살론 등 서민금융의 안정적인 재원 확보 방안을 담은 '서민의 금융생활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내년에 끝나는 정부의 서민금융 출연 기간(2016∼2020년)이 5년(2021∼2025년) 연장되고, 출연 규모도 연 1750억원에서 연 1900억원으로 늘어난다. 정부와 매칭해 출연하는 금융사의 출연 규모는 연 2000억원으로 정해졌다. 은행·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상호금융·저축은행 등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하며 가계대출 잔액의 0.02~0.03% 수준이 부과된다.
■ <용어 설명>
▷▷ 햇살론 : 대표적인 정책금융 상품으로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보증하는 '직장인 햇살론'은 연소득 3500만원 이하이거나 연소득 4500만원 이하이면서 신용등급 6~10등급인 직장인이 대상이다. 금리는 최고 연 10.5% 내외로 저렴한 편이다.
[이새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 지방 저축은행 관계자는 "대형 저축은행들이 수수료를 3%대로 올리면서 대출 모집 수수료가 상향 평준화됐다"며 "햇살론은 대출금리 상한선이 정해져 있어 사실상 남는 게 없다"고 했다. 햇살론 금리 7~9%에 저축은행 조달금리와 예금보험료, 모집 수수료 등을 빼고 나면 사실상 제로 마진이라는 설명이다.
저축은행들 사이에서 정책금융 상품인 햇살론을 확대하기 위한 출혈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대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대출 모집인에게 주는 수수료를 올려 고객을 모집하고 중소형 저축은행들은 이에 맞서는 뺏고 뺏기는 경쟁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23일 대출모집인 포탈사이트에 따르면 저축은행 신용대출(햇살론 등 포함) 수수료율은 3.32%로 수수료율이 가장 낮은 신협(0.3%)보다 11배 이상 차이가 났다. 여신금융사 신용대출 수수료율이 2.89%로 저축은행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고 은행이 1.28%였다.
저축은행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직장인 햇살론 취급액도 증가했다. 지난해 1~11월 1조7931억원이었던 누적 취급액은 올해 같은 기간 2조2347억원으로 24.6% 증가했다. 수수료율 인상에 앞장섰던 한 대형 저축은행은 올해 1~11월 누적 햇살론 취급액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6%나 늘렸다.
저축은행들이 햇살론 고객을 끌어들이는 이유는 서민금융진흥원이나 신용보증지역재단에서 대출금의 90% 보증을 서기 때문에 부실이 나더라도 돈을 떼일 우려가 적기 때문이다. 내년부터 도입될 예대율(예금-대출 비율) 규제도 저축은행들이 햇살론 고객 모시기에 열을 올리는 이유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예대율 산정 시 정책자금대출을 대출액에서 빼주기로 했다.
지방 경기 악화에 햇살론 등 정책금융 상품으로 간신히 영업을 해오던 중소형 저축은행에선 볼멘소리가 나온다. 지방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방 경제도 어려운 상황에서 대형 저축은행들이 햇살론마저 가져가버려 수익을 늘릴 수단이 없다"고 하소연했다.
금융위원회는 햇살론 등 서민금융의 안정적인 재원 확보 방안을 담은 '서민의 금융생활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내년에 끝나는 정부의 서민금융 출연 기간(2016∼2020년)이 5년(2021∼2025년) 연장되고, 출연 규모도 연 1750억원에서 연 1900억원으로 늘어난다. 정부와 매칭해 출연하는 금융사의 출연 규모는 연 2000억원으로 정해졌다. 은행·보험사·여신전문금융사·상호금융·저축은행 등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하며 가계대출 잔액의 0.02~0.03% 수준이 부과된다.
■ <용어 설명>
▷▷ 햇살론 : 대표적인 정책금융 상품으로 서민금융진흥원에서 보증하는 '직장인 햇살론'은 연소득 3500만원 이하이거나 연소득 4500만원 이하이면서 신용등급 6~10등급인 직장인이 대상이다. 금리는 최고 연 10.5% 내외로 저렴한 편이다.
[이새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