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내 집을 보유한 국민 비중이 전체의 60%를 넘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내 집에서 거주하는 자가 점유율 역시 57.7%로 최고치를 찍은 전년과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최근 2~3년 새 집값이 뛰자 사람들이 앞다퉈 내 집 마련에 뛰어든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택을 사고 싶은 수요가 여전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증거도 될 수 있어 '집은 사는(Buy) 것이 아니라 사는(Live) 것'이라는 현 정부의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16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8년도 주거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작년 자가 보유율은 전체 가구의 61.1%, 자가 점유율은 57.7%를 기록했다. '자가 보유율'은 총가구 중 자기 집을 가진 가구 비율이고 '자가 점유율'은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가구의 비율이다. 이 두 기록은 모두 2017년과 같은 수치로,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래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6~12월 전국 17개 시도 6만여 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자가 보유율은 주거실태 조사가 시작된 2006년 61%에서 2008년 60.9%, 2010년 60.3%, 2012년 58.4%, 2014년 58%로 계속 감소세를 보이다 2016년 59.9%를 기록한 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결혼 5년 차 이내 신혼부부들의 자가 보유율이 50.9%로 전년(47.9%)보다 3%포인트 올랐다. 이들 연령층의 자가 점유율도 2017년 44.7%에서 48%로 3.3%포인트 늘었다.
전문가들은 최근 집값이 오르자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주택 매수 분위기가 만들어지면서 자가 점유율과 보유율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했다. 집을 사야(Buying) 한다는 인식이 사람들 사이에서 퍼졌다는 뜻이다. 실제로 조사 대상 6만여 가구 중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답한 비중은 82.5%를 기록했다. 전년(82.8%)보다는 조금 낮지만 70%대를 기록했던 2010~2014년보다는 높은 수치다.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근 2~3년 새 집값이 뛰자 사람들이 앞다퉈 내 집 마련에 뛰어든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주택을 사고 싶은 수요가 여전한 것이라고 판단하는 증거도 될 수 있어 '집은 사는(Buy) 것이 아니라 사는(Live) 것'이라는 현 정부의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16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8년도 주거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작년 자가 보유율은 전체 가구의 61.1%, 자가 점유율은 57.7%를 기록했다. '자가 보유율'은 총가구 중 자기 집을 가진 가구 비율이고 '자가 점유율'은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가구의 비율이다. 이 두 기록은 모두 2017년과 같은 수치로, 조사를 시작한 2006년 이래 최고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6~12월 전국 17개 시도 6만여 가구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자가 보유율은 주거실태 조사가 시작된 2006년 61%에서 2008년 60.9%, 2010년 60.3%, 2012년 58.4%, 2014년 58%로 계속 감소세를 보이다 2016년 59.9%를 기록한 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결혼 5년 차 이내 신혼부부들의 자가 보유율이 50.9%로 전년(47.9%)보다 3%포인트 올랐다. 이들 연령층의 자가 점유율도 2017년 44.7%에서 48%로 3.3%포인트 늘었다.
전문가들은 최근 집값이 오르자 젊은 연령층을 중심으로 주택 매수 분위기가 만들어지면서 자가 점유율과 보유율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했다. 집을 사야(Buying) 한다는 인식이 사람들 사이에서 퍼졌다는 뜻이다. 실제로 조사 대상 6만여 가구 중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답한 비중은 82.5%를 기록했다. 전년(82.8%)보다는 조금 낮지만 70%대를 기록했던 2010~2014년보다는 높은 수치다.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