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 퇴직연금 펀드로 자금 유입이 두드러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1월은 연말정산 시즌으로 세액공제 혜택이 있는 퇴직연금 상품 가입 수요가 증가한다. 특히 올해는 정부가 지난해 내놓은 사적연금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세액공제 한도가 최대 700만원으로 늘어나면서 절세를 노린 퇴직연금 펀드 투자 수요가 더욱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퇴직연금 펀드로 자금 8686억원이 신규 유입됐다. 30일까지 남은 3영업일 동안 추가 자금 유입을 감안하면 1월 한 달간 1조원에 가까운 돈이 퇴직연금 펀드로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누적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은 6조6365억원이다.
지난해 연간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 증가 규모는 1조5278억원이었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 첫 한 달 사이 퇴직연금 펀드로 1조원 가까운 돈이 유입됐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퇴직연금 펀드는 과거에도 통상 1월에 자금이 많이 유입됐다. 지난해 1월 유입 자금은 6343억원으로 연간 전체 신규 설정액의 40%가 넘었다. 1월이 근로소득자들의 연말정산 시기이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가입액에 대해 연간 400만원 한도로 12%(지방세율 1.2% 포함 시 13.2%)를 세액공제해줬다.
특히 지난해 8월 정부가 발표한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에서 올해부터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대한 추가 납입 300만원까지 공제 혜택을 늘리기로 하면서 자금 유입이 더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2014년도 연말정산에서는 퇴직연금 세액공제 혜택이 52만8000원에 그쳤지만 IRP에 300만원을 추가로 납입하면 2015년도 연말정산 공제 혜택은 92만4000만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IRP는 퇴직연금 사업자로 등록된 은행·증권·보험 등 52개 금융회사에서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
또 이르면 올해 3월부터 확정기여(DC)형과 IRP의 총위험자산 투자 한도가 기존 40%에서 70%로 확대되면서 보다 다양한 퇴직연금 펀드가 출시돼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노동부의 관련 시행령과 금융위원회의 감독규정 개정 작업이 막바지 단계”라며 “이르면 3월부터 투자한도 확대 시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퇴직연금 펀드들의 운용 성과도 좋다. ‘KB퇴직연금배당40’ 펀드는 1년 수익률이 12.9%, 3년 29.0%, 5년 68.5%로 꾸준히 높은 성과를 유지하고 있다. ‘신영퇴직연금배당채권’ ‘미래에셋퇴직플랜40’ ‘마이다스퇴직연금배당40’ 등은 지난해 조정장에서도 5% 이상 성과를 기록했다.
운용사별 퇴직연금 펀드 시장점유율은 26일 기준 KB자산운용이 20.5%로 1위다. KB운용은 높은 수익률과 판매망을 무기로 올해 들어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이 2437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17.8%) 미래에셋자산운용(16.0%) 삼성자산운용(14.5%) 등도 크지 않은 격차로 뒤를 쫓고 있다.
상위 4개사 간 수탁액 차이가 3000억~4000억원에 불과해 운용사 간 순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배성철 KB운용 리테일본부 이사는 “정기예금 금리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낮은 수익률에 만족하지 못하는 투자자들이 혼합형 펀드 상품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올해 1월에는 DC형 제도를 새롭게 도입한 기업 근로자들의 자금 유입 등으로 설정액이 큰 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8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27일까지 퇴직연금 펀드로 자금 8686억원이 신규 유입됐다. 30일까지 남은 3영업일 동안 추가 자금 유입을 감안하면 1월 한 달간 1조원에 가까운 돈이 퇴직연금 펀드로 모일 것으로 예상된다. 누적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은 6조6365억원이다.
지난해 연간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 증가 규모는 1조5278억원이었다. 이를 감안하면 올해 첫 한 달 사이 퇴직연금 펀드로 1조원 가까운 돈이 유입됐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퇴직연금 펀드는 과거에도 통상 1월에 자금이 많이 유입됐다. 지난해 1월 유입 자금은 6343억원으로 연간 전체 신규 설정액의 40%가 넘었다. 1월이 근로소득자들의 연말정산 시기이기 때문이다. 지난해까지 퇴직연금과 개인연금 가입액에 대해 연간 400만원 한도로 12%(지방세율 1.2% 포함 시 13.2%)를 세액공제해줬다.
특히 지난해 8월 정부가 발표한 사적연금 활성화 대책에서 올해부터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대한 추가 납입 300만원까지 공제 혜택을 늘리기로 하면서 자금 유입이 더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2014년도 연말정산에서는 퇴직연금 세액공제 혜택이 52만8000원에 그쳤지만 IRP에 300만원을 추가로 납입하면 2015년도 연말정산 공제 혜택은 92만4000만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IRP는 퇴직연금 사업자로 등록된 은행·증권·보험 등 52개 금융회사에서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
또 이르면 올해 3월부터 확정기여(DC)형과 IRP의 총위험자산 투자 한도가 기존 40%에서 70%로 확대되면서 보다 다양한 퇴직연금 펀드가 출시돼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노동부의 관련 시행령과 금융위원회의 감독규정 개정 작업이 막바지 단계”라며 “이르면 3월부터 투자한도 확대 시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퇴직연금 펀드들의 운용 성과도 좋다. ‘KB퇴직연금배당40’ 펀드는 1년 수익률이 12.9%, 3년 29.0%, 5년 68.5%로 꾸준히 높은 성과를 유지하고 있다. ‘신영퇴직연금배당채권’ ‘미래에셋퇴직플랜40’ ‘마이다스퇴직연금배당40’ 등은 지난해 조정장에서도 5% 이상 성과를 기록했다.
운용사별 퇴직연금 펀드 시장점유율은 26일 기준 KB자산운용이 20.5%로 1위다. KB운용은 높은 수익률과 판매망을 무기로 올해 들어 퇴직연금 펀드 설정액이 2437억원이나 증가했다. 이어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17.8%) 미래에셋자산운용(16.0%) 삼성자산운용(14.5%) 등도 크지 않은 격차로 뒤를 쫓고 있다.
상위 4개사 간 수탁액 차이가 3000억~4000억원에 불과해 운용사 간 순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배성철 KB운용 리테일본부 이사는 “정기예금 금리의 지속적인 하락으로 낮은 수익률에 만족하지 못하는 투자자들이 혼합형 펀드 상품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올해 1월에는 DC형 제도를 새롭게 도입한 기업 근로자들의 자금 유입 등으로 설정액이 큰 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최재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