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라는 초강수를 두면서 WHO의 미래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압도적으로 많은 기여금을 내던 미국의 탈퇴로 WHO 운영에 타격이 예상돼서입니다.
반면 WHO에서 중국의 입김이 더욱 세질 전망입니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처와 관련해 바이러스 추적 및 백신 개발을 위한 회원국 간 공조에도 차질이 빚어질지 모른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미국은 WHO의 최대 재정 기여국입니다. WHO의 2018~2019년도 예산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기여금은 8억9천300만달러(한화 약 1조859억원)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습니다.
같은 기간 WHO의 전체 예산이 56억2천360만 달러(약 6조8천383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예산 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WHO에 절연을 선언한 뒤 독일과 프랑스가 5억 유로(약 6천747억원) 규모 자금을 추가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미국이 빠져나간 자리를 메우긴 역부족입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코로나19가 WHO를 죽였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미국이 "단연 WHO의 가장 큰 기부자"라며 "미국을 잃는 것은 조직에 큰 타격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가뜩이나 WHO는 수년째 회원국들로부터 제대로 기금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이로 인해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창궐했을 때 대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번 코로나19 사태에도 재원 마련을 위해 대응 기금 모금에 나서야 했다고 포브스는 지적했습니다.
운영 차질 만큼이나 우려되는 사항은 WHO 내부의 역학관계 변화입니다.
미국이 탈퇴 이유로 지목한 WHO의 중국 편들기가 더욱 심해질 수 있어서입니다.
중국 의사들이 이미 지난해 말 코로나19 확산에 경종을 울리고, 올해 1월 중순에는 중국 관리들도 인간 대 인간 전염 위험을 공개 인정했는데도 WHO는 중국 정부의 해명을 반복하며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을 미뤄 논란이 됐습니다.
WHO는 뒤늦게 1월 30일 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 이미 바이러스는 중국을 넘어 미국에까지 상륙한 뒤였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후에도 중국을 두둔하는 발언을 해 비판받았습니다.
이 와중에 미국이 탈퇴하면 결국 중국의 입김이 더욱 커진다는 것이 안팎의 해석입니다.
제프 머클리(공화·오리건) 미국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탈퇴 결정을 두고 "미국민에 큰 타격이자 중국에는 위대한 승리를 가져다줬다"고 비판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보도했습니다.
그는 "WHO 안에서는 물론 좀 더 넓게는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리더십과 힘을 강화할 기회를 줬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탈퇴로 서방 지도자들은 '유엔 체제에서 미국은 물러서고, 중국은 영향력이 커진다'는 인식을 더욱 확실히 갖게 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탈퇴가 코로나19 퇴치를 위한 노력마저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가뜩이나 각국의 경제 정상화 조치 이후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반등하며 재유행 조짐을 보여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천200만명에 육박한 가운데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7일 "확실히 (코로나19) 발생이 다시 가속화하고 있으며 정점에 이르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로이스 페이스 세계건강협의회(GHC) 회장은 CNN방송에 "WHO의 대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팬데믹 와중에 탈퇴한다는 것은 위험한 도박과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현 상황에서 미국이 탈퇴하면 코로나19 확산세를 추적하고, 백신 개발에 필수인 임상 시험을 하는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고 CNN은 보도했습니다.
WSJ는 트럼프 대통령의 WHO 탈퇴 결정과 관련, "이런 움직임은 코로나19 팬데믹을 상대로 한 국제적인 싸움을 가로막는다"고 비판했습니다.
라마르 알렉산더(공화·테네시) 상원의원도 "코로나19와 관련한 WHO의 실수에 냉엄하게 관찰할 필요는 분명히 있지만, 위기가 끝난 뒤에 해야지 중간에 해서는 안 된다"고 거들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압도적으로 많은 기여금을 내던 미국의 탈퇴로 WHO 운영에 타격이 예상돼서입니다.
반면 WHO에서 중국의 입김이 더욱 세질 전망입니다.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처와 관련해 바이러스 추적 및 백신 개발을 위한 회원국 간 공조에도 차질이 빚어질지 모른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미국은 WHO의 최대 재정 기여국입니다. WHO의 2018~2019년도 예산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기여금은 8억9천300만달러(한화 약 1조859억원)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습니다.
같은 기간 WHO의 전체 예산이 56억2천360만 달러(약 6조8천383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한 예산 공백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WHO에 절연을 선언한 뒤 독일과 프랑스가 5억 유로(약 6천747억원) 규모 자금을 추가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미국이 빠져나간 자리를 메우긴 역부족입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코로나19가 WHO를 죽였나'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미국이 "단연 WHO의 가장 큰 기부자"라며 "미국을 잃는 것은 조직에 큰 타격일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습니다.
가뜩이나 WHO는 수년째 회원국들로부터 제대로 기금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이로 인해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가 창궐했을 때 대응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번 코로나19 사태에도 재원 마련을 위해 대응 기금 모금에 나서야 했다고 포브스는 지적했습니다.
운영 차질 만큼이나 우려되는 사항은 WHO 내부의 역학관계 변화입니다.
미국이 탈퇴 이유로 지목한 WHO의 중국 편들기가 더욱 심해질 수 있어서입니다.
중국 의사들이 이미 지난해 말 코로나19 확산에 경종을 울리고, 올해 1월 중순에는 중국 관리들도 인간 대 인간 전염 위험을 공개 인정했는데도 WHO는 중국 정부의 해명을 반복하며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언을 미뤄 논란이 됐습니다.
WHO는 뒤늦게 1월 30일 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 이미 바이러스는 중국을 넘어 미국에까지 상륙한 뒤였습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후에도 중국을 두둔하는 발언을 해 비판받았습니다.
이 와중에 미국이 탈퇴하면 결국 중국의 입김이 더욱 커진다는 것이 안팎의 해석입니다.
제프 머클리(공화·오리건) 미국 상원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탈퇴 결정을 두고 "미국민에 큰 타격이자 중국에는 위대한 승리를 가져다줬다"고 비판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은 보도했습니다.
그는 "WHO 안에서는 물론 좀 더 넓게는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리더십과 힘을 강화할 기회를 줬다"고 지적했습니다.
미국의 탈퇴로 서방 지도자들은 '유엔 체제에서 미국은 물러서고, 중국은 영향력이 커진다'는 인식을 더욱 확실히 갖게 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습니다.
미국의 탈퇴가 코로나19 퇴치를 위한 노력마저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가뜩이나 각국의 경제 정상화 조치 이후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반등하며 재유행 조짐을 보여 이러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1천200만명에 육박한 가운데 거브러여수스 사무총장은 7일 "확실히 (코로나19) 발생이 다시 가속화하고 있으며 정점에 이르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로이스 페이스 세계건강협의회(GHC) 회장은 CNN방송에 "WHO의 대안이 부재한 상황에서 팬데믹 와중에 탈퇴한다는 것은 위험한 도박과 같다"고 주장했습니다.
현 상황에서 미국이 탈퇴하면 코로나19 확산세를 추적하고, 백신 개발에 필수인 임상 시험을 하는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고 CNN은 보도했습니다.
WSJ는 트럼프 대통령의 WHO 탈퇴 결정과 관련, "이런 움직임은 코로나19 팬데믹을 상대로 한 국제적인 싸움을 가로막는다"고 비판했습니다.
라마르 알렉산더(공화·테네시) 상원의원도 "코로나19와 관련한 WHO의 실수에 냉엄하게 관찰할 필요는 분명히 있지만, 위기가 끝난 뒤에 해야지 중간에 해서는 안 된다"고 거들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