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임성일 기자] 지도자들이 흔히 하는 말 중 하나가 “감독은 조연이고 선수들이 주연이다. 우리는 그저 선수들이 빛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이라는 것이다. 일리 있는 말이다. 뛰는 이는 감독이 아닌 선수고, 결국 선수가 잘해야 성적이 나는 법. 분명 주연은 선수들이고 주위에 있는 이들은 보조자이다.
하지만 조연의 비중이 결코 주연보다 작지 않은 작품이 바로 축구 경기다. 비록 스포트라이트는 주연(선수)에게 향할지 몰라도 작품에 대한 평가나 흥행 결과는 조연(감독)의 역량에 따라 갈리는 경우가 많다. 지도자가 어떤 방향을 잡느냐에 따라 너른 바다를 멋지게 미끄러지는 범선이 될 수도 있고 산으로 가는 배의 신세가 될 수도 있다.
감독의 역할이 커지면서 언젠가부터 감독을 향한 조명도 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변화가 감독에게 수식어가 붙는 새로운 풍속도다. 과거 수식어는 선수들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다. 적어도 대한민국 축구판에서는 그랬다. 하지만 근래의 흐름은 다르다. ‘잘 나가는’ 감독이라면 특별한 수식어 하나쯤은 다 가지고 있다.
최강희 전북 감독이 대표적이다. 2005년 여름 지휘봉을 잡은 뒤, 불가피했던 대표팀 외도를 제외하고는 한결같이 전북을 지키고 있는 최강희 감독 앞에는 언젠가부터 다양한 수식어들이 붙기 시작했다.
시쳇말로 ‘한물갔다’고 평가받던 이들이 최강희 감독의 손을 타면 부활의 날개를 펼치자 ‘재활공장장’이라는 수식어가 나왔다. 지난 2006년 승승장구하며 ACL 정상을 차지할 때 중국 기자들이 붙여준 자랑스러운 별명은 ‘강희대제’였다. 백미는 ‘봉동이장’이다. 봉동이장과 함께 전북은 시나브로 K리그의 명문클럽 반열에 올라섰다. ‘닥공’이라는 컬러를 갖추면서 성적까지 낼 수 있었던 배경에 최강희 감독의 공이 상당히 컸다.
올해는 유독 새로운 수식어들이 많이 나왔다. 외국인 선수 한 명도 없이 정규리그 1위를 질주하고 있는 포항의 황선홍 감독에게는 ‘황선대원군’이라는 기막힌 별명이 붙었다. 어쩔 수 없던 쇄국 정책이지만, 남들이 모두 힘들다고 고개 흔들 때 소신과 오기로 당당히 걸어가는 포항과 황선홍 감독의 행보는 분명 인상적이다.
시민구단 중 유일하게 상위 스플릿에 진출한 인천유나이티드의 김봉길 감독은 ‘봉길매직’이란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지난해 인천은 16개 팀 중 16위였던 적도 있었다. 그랬던 인천이 정말 마법처럼 달라졌다. 베테랑 김남일은 농담과 진심을 섞어 “나중에라도, 김봉길 감독님이 대표팀을 맡았으면 좋겠다”는 존경심까지 표했을 정도로, 김봉길 감독의 지휘 아래 인천은 확실히 변했다.
‘세제믿윤(세상에서 제일 믿음직스러운 윤성효)’부터 ‘효멘’을 넘어 ‘성효부적’까지 이어지는 윤성표 부산 감독이나 철퇴축구를 이끄는 ‘철퇴왕’ 이미지를 구축한 김호곤 울산 감독 등 자신만의 확실한 캐릭터를 구축한 지도자들이 늘고 있다. 소개한 감독들이 이끄는 팀들은 모두 상위 스플릿에 진출해있다. 결코 우연으로 볼 수 없는 일이다.
감독의 지도력이 팀 성적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이제 팬들도 알고 있다는 뜻이다. 미안한 말이지만, 하위권 팀들의 지도자 중에서 팬들이 선사한 애칭을 가진 감독은 없다. 결국 일종의 ‘훈장’ 같은 것이다.
새로운 풍속도가 K리그에 생겼다. 감독에게 애칭이나 수식어가 붙으면 그 팀은 결국 성적이 나고 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또 바람직한 현상이다. 좋은 지도자가 좋은 팀과 좋은 선수를 만드는 법이다. 궁극적인 축구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좋은 지도자가 많이 나와야한다던 오랜 외침을 생각할 때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lastuncle@maekyung.com]
하지만 조연의 비중이 결코 주연보다 작지 않은 작품이 바로 축구 경기다. 비록 스포트라이트는 주연(선수)에게 향할지 몰라도 작품에 대한 평가나 흥행 결과는 조연(감독)의 역량에 따라 갈리는 경우가 많다. 지도자가 어떤 방향을 잡느냐에 따라 너른 바다를 멋지게 미끄러지는 범선이 될 수도 있고 산으로 가는 배의 신세가 될 수도 있다.
봉동이장, 황선대원군, 봉길매직, 성효부적, 철퇴왕 등 감독들 앞에 수식어가 붙고 있다. 훈장 같은 애칭이다. 감독이 훈장을 달면, 그 팀은 성적이 난다. 사진= MK스포츠 DB |
최강희 전북 감독이 대표적이다. 2005년 여름 지휘봉을 잡은 뒤, 불가피했던 대표팀 외도를 제외하고는 한결같이 전북을 지키고 있는 최강희 감독 앞에는 언젠가부터 다양한 수식어들이 붙기 시작했다.
시쳇말로 ‘한물갔다’고 평가받던 이들이 최강희 감독의 손을 타면 부활의 날개를 펼치자 ‘재활공장장’이라는 수식어가 나왔다. 지난 2006년 승승장구하며 ACL 정상을 차지할 때 중국 기자들이 붙여준 자랑스러운 별명은 ‘강희대제’였다. 백미는 ‘봉동이장’이다. 봉동이장과 함께 전북은 시나브로 K리그의 명문클럽 반열에 올라섰다. ‘닥공’이라는 컬러를 갖추면서 성적까지 낼 수 있었던 배경에 최강희 감독의 공이 상당히 컸다.
올해는 유독 새로운 수식어들이 많이 나왔다. 외국인 선수 한 명도 없이 정규리그 1위를 질주하고 있는 포항의 황선홍 감독에게는 ‘황선대원군’이라는 기막힌 별명이 붙었다. 어쩔 수 없던 쇄국 정책이지만, 남들이 모두 힘들다고 고개 흔들 때 소신과 오기로 당당히 걸어가는 포항과 황선홍 감독의 행보는 분명 인상적이다.
시민구단 중 유일하게 상위 스플릿에 진출한 인천유나이티드의 김봉길 감독은 ‘봉길매직’이란 신조어를 만들어냈다. 지난해 인천은 16개 팀 중 16위였던 적도 있었다. 그랬던 인천이 정말 마법처럼 달라졌다. 베테랑 김남일은 농담과 진심을 섞어 “나중에라도, 김봉길 감독님이 대표팀을 맡았으면 좋겠다”는 존경심까지 표했을 정도로, 김봉길 감독의 지휘 아래 인천은 확실히 변했다.
‘세제믿윤(세상에서 제일 믿음직스러운 윤성효)’부터 ‘효멘’을 넘어 ‘성효부적’까지 이어지는 윤성표 부산 감독이나 철퇴축구를 이끄는 ‘철퇴왕’ 이미지를 구축한 김호곤 울산 감독 등 자신만의 확실한 캐릭터를 구축한 지도자들이 늘고 있다. 소개한 감독들이 이끄는 팀들은 모두 상위 스플릿에 진출해있다. 결코 우연으로 볼 수 없는 일이다.
감독의 지도력이 팀 성적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이제 팬들도 알고 있다는 뜻이다. 미안한 말이지만, 하위권 팀들의 지도자 중에서 팬들이 선사한 애칭을 가진 감독은 없다. 결국 일종의 ‘훈장’ 같은 것이다.
새로운 풍속도가 K리그에 생겼다. 감독에게 애칭이나 수식어가 붙으면 그 팀은 결국 성적이 나고 있다.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또 바람직한 현상이다. 좋은 지도자가 좋은 팀과 좋은 선수를 만드는 법이다. 궁극적인 축구발전을 위해서는 결국 좋은 지도자가 많이 나와야한다던 오랜 외침을 생각할 때 고무적인 현상이 아닐 수 없다.
[lastuncle@maekyung.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