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인권유린 행위로 5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옛 형제복지원의 수용자 신상기록카드 원본이 공개됐습니다.
부산사회복지연대는 최근 형제복지원 수용자 126명의 신상기록카드를 입수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박민성 부산사회복지연대(연대) 사무처장은 "수용자 명부가 공개된 적은 있으나 신상기록카드 원본이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자료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부산 사상구 주례동 형제복지원에서 작성된 것으로 성명, 생년월일, 추정연령, 본적, 주소, 학력, 종교, 직업, 노동 가능 여부 등 입소자 인적사항에 관한 30가지 항목을 담고 있습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사람은 '김구포'나 '김수안' 등 발견된 지명을 딴 것으로 추정됩니다.
126명의 신병 처리는 서류 상단에 사망, 도망, 전원, 귀가 등 네 가지로 분류됐습니다.
사망은 41명, 도망 5명, 전원 21명, 귀가 59명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형제복지원 측은 신상기록카드에 '술에 취해 오가는 행인들에게 추태를 부리다 파출소 의뢰로 보호됐다'거나 '평소 주벽이 심한 자' 등으로 수용 당시 과정을 적었습니다.
연대는 당시 형제복지원 측이 경찰이나 구청 직원의 진술만으로 수용자들을 강제 입소시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형제복지원 관계자 A 씨가 관리하던 것입니다.
사회복지연대는 2012년부터 A 씨와 접촉해 5년여 만인 지난해 10월에 신상기록카드를 비롯해 자료 사진과 박 전 이사장의 자서전 '형제복지원 이렇게 운영되었다!' (2010년 발간) 초고 등을 건네받았습니다.
신상기록카드는 자서전 작성에 참고 자료로 활용됐고 자료의 존재를 알던 A 씨가 개인적으로 관리한 것이라는 게 부산사회복지연대의 설명입니다.
박민성 사무처장은 "신상기록카드 원본 공개를 계기로 형제복지원 특별법안의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형제복지원이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운영되는 동안 자체 기록으로 확인 가능한 사망자 수만 513명입니다.
주검 일부는 암매장되거나 시신조차 찾지 못해 한국판 아우슈비츠로 불립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부산사회복지연대는 최근 형제복지원 수용자 126명의 신상기록카드를 입수했다고 26일 밝혔습니다.
박민성 부산사회복지연대(연대) 사무처장은 "수용자 명부가 공개된 적은 있으나 신상기록카드 원본이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자료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부산 사상구 주례동 형제복지원에서 작성된 것으로 성명, 생년월일, 추정연령, 본적, 주소, 학력, 종교, 직업, 노동 가능 여부 등 입소자 인적사항에 관한 30가지 항목을 담고 있습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사람은 '김구포'나 '김수안' 등 발견된 지명을 딴 것으로 추정됩니다.
126명의 신병 처리는 서류 상단에 사망, 도망, 전원, 귀가 등 네 가지로 분류됐습니다.
사망은 41명, 도망 5명, 전원 21명, 귀가 59명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형제복지원 측은 신상기록카드에 '술에 취해 오가는 행인들에게 추태를 부리다 파출소 의뢰로 보호됐다'거나 '평소 주벽이 심한 자' 등으로 수용 당시 과정을 적었습니다.
연대는 당시 형제복지원 측이 경찰이나 구청 직원의 진술만으로 수용자들을 강제 입소시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자료는 형제복지원 관계자 A 씨가 관리하던 것입니다.
사회복지연대는 2012년부터 A 씨와 접촉해 5년여 만인 지난해 10월에 신상기록카드를 비롯해 자료 사진과 박 전 이사장의 자서전 '형제복지원 이렇게 운영되었다!' (2010년 발간) 초고 등을 건네받았습니다.
신상기록카드는 자서전 작성에 참고 자료로 활용됐고 자료의 존재를 알던 A 씨가 개인적으로 관리한 것이라는 게 부산사회복지연대의 설명입니다.
박민성 사무처장은 "신상기록카드 원본 공개를 계기로 형제복지원 특별법안의 제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형제복지원이 1975년부터 1987년까지 운영되는 동안 자체 기록으로 확인 가능한 사망자 수만 513명입니다.
주검 일부는 암매장되거나 시신조차 찾지 못해 한국판 아우슈비츠로 불립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