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규모 5.0 지진, 재난연구센터 기관장들 "당황하지 말고 침착해라"
"당황하지 말고 침착해라."
일본과 대만의 국립재난연구단체 기관장들이 울산에 왔다가 리히터 규모 5.0 지진동을 직접 느끼고 우리나라 국민에게 던진 조언입니다.
이들은 국립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6일 롯데호텔울산에서 개최한 제7회 한국·대만·일본 국제 공동워크숍에 참석했습니다.
워크숍은 지진재해 피해 사례와 최신 대응기술에 대한 발표와 토론형식으로 열렸습니다.
◇ "일본·대만 큰 지진 잦아…한국, 침착하게 대비해야"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원(NIED) 하야시 하루오(林 春男) 원장은 '지진이 났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침착해라, 당황하지 말고, 흥분하지 마라"(Stay calm, Don't panic, Don't overreact)고 말했습니다.
하야시 원장은 "5일 울산에서 발생한 지진을 느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한국은 일본이나 대만보다 상대적으로 지반이 안정적이어서 큰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며 "재난은 일어날 수도 있지만, 매뉴얼에 따라 안정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울산의 건축물은 내진 설계가 잘 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지진은 일본이나 대만에 비하면 적은 규모"라고 강조했습니다.
대만 국립방재과학기술센터(NCDR) 홍에이 첸 원장은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단층대는 대만과 일본에 자주 큰 지진을 일으킨다"면서 "한국은 이와 떨어져 있고 지진 발생 횟수도 적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그러나 지진이 안 난다고 할 수 없다"며 "문제는 지진이 났을 때 국민이 뭘 어떻게 해야할 지 빨리 정보를 줘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그는 "지진이 나기 전 진앙 등에 대한 정보와 지진 피해 가능성을 충분히 공유하고, 지진이 나면 진앙 인근의 주민을 빨리 안전지대로 대피시키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고 충고했습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NDMI) 심재현 원장은 "울산을 비롯한 한국은 '불의 고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어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 않지만 과거 지진 발생 기록이 있고, 안전하다고 자신할 수 없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심 원장은 "지진은 막을 수 없지만 정확한 정보를 국민에게 빨리 알리는 것이 과제"라며 "발생 횟수가 잦아지면서 지진이 전문기관 만의 일이 아니라 국민이 일상생활 속에서 준비해야 일로 변해가고 있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그는 "기상청, 지질자원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 관련 기관들은 각각 대피 요령 등 지진 대응체계를 만들어 놓았다"며 "이젠 국민이 지진재해를 관심있게 바라보고 적절히 행동하는 선진의식이 요구된다"고 말했습니다.
◇ 내진설계율 일본·대만 100%…한국은 공공시설만 46%
일본과 대만 국민이 크고 잦은 지진에도 의연하게 대처하고, 상대적으로 큰 피해가 나지 않는 것은 건축물 내진 설계가 잘 이뤄졌기 때문이다. 일본과 대만은 공공과 민간시설 모두 내진 설계가 완료됐습니다.
한국은 공공시설물 내진 설계율이 45%, 민간시설은 정확한 집계가 없습니다.
하야시 원장은 "일본은 리히터 규모 8.0에 맞춰 공공과 민간 건축물의 내진 설계가 다 이뤄졌다"고 말했습니다.
1923년 간토(關東·관동) 대지진으로 40만 명이 사망하는 피해가 나자 지진의 심각성을 깨닫고 1968년 도카치오키 지진을 거치면서 1970년 내진 설계를 도입했습니다.
이후 1980년 내진 설계를 완성, 1995년 고베지진 때 1970년 도입한 내진 기준 때문에 건축물이 무너지지 않은 점을 확인했다고 하야시 원장은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구마모토(熊本) 지진 때 규모(7.3)는 작지만, 직하로 땅이 갈라지는 문제가 발생해 최근 직하형 지진을 극복하는 새로운 내진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하야시 원장은 "민간시설의 내진건축에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없다"며 "다만 건축물을 지을 때 내진보강을 하는 건물은 은행 대출을 많이 해 주고 대출금 이율을 낮추는 유인책을 시행한다"고 말했습니다.
대만도 큰 지진을 경험하면서 내진 설계가 강화됐습니다.
첸 원장은 "대만은 공공과 민간시설 모두 리히터 규모 6.0을 버티도록 설계됐다"고 자신했습니다.
1999년 리히터 규모 7.6의 치치 지진으로 3천명 이상 숨지자 공공과 민간시설의 내진 설계가 의무화됐습니다.
첸 원장은 "지금은 1999년 이전에 지은 민간시설도 스스로 내진보강을 완료했다"며 "정부가 재정지원을 하지 않아도 지진 피해가 나면 손실이 크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내진보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과 대만에 비하면 우리나라의 내진 설계는 미진한 실정입니다.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국내 11만6천768곳의 내진설계 대상 건물 중 45.6%만 내진이 이뤄졌습니다.
민간 시설물을 정확한 현황이 파악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법적 내진 설계 기준이 세워져 2015년까지 6차례 개정, 강화됐습니다.
심 원장은 "우리나라는 공공시설물의 내진 설계는 어느 정도 이뤄졌지만, 법 적용을 받지 않는 1988년 이전에 지은 민간 시설물이 문제"라며 "일본처럼 은행 이자를 낮추는 등 내진보강을 하도록 유인하는 시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진 피해가 가장 중대한 원전의 경우 안전한 수준의 내진설계가 이뤄진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지진해일 등 외력에 얼마나 방비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당황하지 말고 침착해라."
일본과 대만의 국립재난연구단체 기관장들이 울산에 왔다가 리히터 규모 5.0 지진동을 직접 느끼고 우리나라 국민에게 던진 조언입니다.
이들은 국립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6일 롯데호텔울산에서 개최한 제7회 한국·대만·일본 국제 공동워크숍에 참석했습니다.
워크숍은 지진재해 피해 사례와 최신 대응기술에 대한 발표와 토론형식으로 열렸습니다.
◇ "일본·대만 큰 지진 잦아…한국, 침착하게 대비해야"
일본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원(NIED) 하야시 하루오(林 春男) 원장은 '지진이 났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침착해라, 당황하지 말고, 흥분하지 마라"(Stay calm, Don't panic, Don't overreact)고 말했습니다.
하야시 원장은 "5일 울산에서 발생한 지진을 느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한국은 일본이나 대만보다 상대적으로 지반이 안정적이어서 큰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며 "재난은 일어날 수도 있지만, 매뉴얼에 따라 안정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울산의 건축물은 내진 설계가 잘 된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지진은 일본이나 대만에 비하면 적은 규모"라고 강조했습니다.
대만 국립방재과학기술센터(NCDR) 홍에이 첸 원장은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단층대는 대만과 일본에 자주 큰 지진을 일으킨다"면서 "한국은 이와 떨어져 있고 지진 발생 횟수도 적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는 "그러나 지진이 안 난다고 할 수 없다"며 "문제는 지진이 났을 때 국민이 뭘 어떻게 해야할 지 빨리 정보를 줘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그는 "지진이 나기 전 진앙 등에 대한 정보와 지진 피해 가능성을 충분히 공유하고, 지진이 나면 진앙 인근의 주민을 빨리 안전지대로 대피시키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고 충고했습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NDMI) 심재현 원장은 "울산을 비롯한 한국은 '불의 고리'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어 지진이 자주 일어나지 않지만 과거 지진 발생 기록이 있고, 안전하다고 자신할 수 없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심 원장은 "지진은 막을 수 없지만 정확한 정보를 국민에게 빨리 알리는 것이 과제"라며 "발생 횟수가 잦아지면서 지진이 전문기관 만의 일이 아니라 국민이 일상생활 속에서 준비해야 일로 변해가고 있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그는 "기상청, 지질자원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 관련 기관들은 각각 대피 요령 등 지진 대응체계를 만들어 놓았다"며 "이젠 국민이 지진재해를 관심있게 바라보고 적절히 행동하는 선진의식이 요구된다"고 말했습니다.
◇ 내진설계율 일본·대만 100%…한국은 공공시설만 46%
일본과 대만 국민이 크고 잦은 지진에도 의연하게 대처하고, 상대적으로 큰 피해가 나지 않는 것은 건축물 내진 설계가 잘 이뤄졌기 때문이다. 일본과 대만은 공공과 민간시설 모두 내진 설계가 완료됐습니다.
한국은 공공시설물 내진 설계율이 45%, 민간시설은 정확한 집계가 없습니다.
하야시 원장은 "일본은 리히터 규모 8.0에 맞춰 공공과 민간 건축물의 내진 설계가 다 이뤄졌다"고 말했습니다.
1923년 간토(關東·관동) 대지진으로 40만 명이 사망하는 피해가 나자 지진의 심각성을 깨닫고 1968년 도카치오키 지진을 거치면서 1970년 내진 설계를 도입했습니다.
이후 1980년 내진 설계를 완성, 1995년 고베지진 때 1970년 도입한 내진 기준 때문에 건축물이 무너지지 않은 점을 확인했다고 하야시 원장은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구마모토(熊本) 지진 때 규모(7.3)는 작지만, 직하로 땅이 갈라지는 문제가 발생해 최근 직하형 지진을 극복하는 새로운 내진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하야시 원장은 "민간시설의 내진건축에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없다"며 "다만 건축물을 지을 때 내진보강을 하는 건물은 은행 대출을 많이 해 주고 대출금 이율을 낮추는 유인책을 시행한다"고 말했습니다.
대만도 큰 지진을 경험하면서 내진 설계가 강화됐습니다.
첸 원장은 "대만은 공공과 민간시설 모두 리히터 규모 6.0을 버티도록 설계됐다"고 자신했습니다.
1999년 리히터 규모 7.6의 치치 지진으로 3천명 이상 숨지자 공공과 민간시설의 내진 설계가 의무화됐습니다.
첸 원장은 "지금은 1999년 이전에 지은 민간시설도 스스로 내진보강을 완료했다"며 "정부가 재정지원을 하지 않아도 지진 피해가 나면 손실이 크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내진보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일본과 대만에 비하면 우리나라의 내진 설계는 미진한 실정입니다.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국내 11만6천768곳의 내진설계 대상 건물 중 45.6%만 내진이 이뤄졌습니다.
민간 시설물을 정확한 현황이 파악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법적 내진 설계 기준이 세워져 2015년까지 6차례 개정, 강화됐습니다.
심 원장은 "우리나라는 공공시설물의 내진 설계는 어느 정도 이뤄졌지만, 법 적용을 받지 않는 1988년 이전에 지은 민간 시설물이 문제"라며 "일본처럼 은행 이자를 낮추는 등 내진보강을 하도록 유인하는 시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진 피해가 가장 중대한 원전의 경우 안전한 수준의 내진설계가 이뤄진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지진해일 등 외력에 얼마나 방비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