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반려동물 등록제가 도입된지 2년이 지났지만, 실효성 논란은 끊이지 않습니다.
제도 자체를 잘 모르는데다, 등록 방식에 반려견주들의 불만이 많아서 등록률은 절반에 그칩니다.
박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유기견이었던 사랑이와 복덩이를 5년째 키우고 있는 박성진씨.
두 달 전 반려견들을 구청에 등록하고 고민 끝에 목에 외장형 마이크로칩을 달았지만, 불안한 마음은 여전합니다.
▶ 인터뷰 : 박성진 / 반려견 소유주
- "(내장형) 칩은 몸에 안 좋고 염증 생길 것 같아서 안 했고요. (외장형) 목걸이도 강아지들 천방지축 다니다 보면 끊어질 수 있을 것 같고…."
내장형이나 외장형 칩, 그리고 이름표 중 하나를 개한테 반드시 장착하도록 한 반려동물 등록제를 놓고 잡음이 끊이지 않습니다.
특히, 반려견 몸 안에 넣는 내장형 칩은 부작용 논란이 거셉니다.
▶ 인터뷰 : 박애경 / 한국애견협회 사무총장
- "(동물등록번호가) 읽히지 않는다거나 부종, 염증을 발생하거나 몸속에서 (칩이) 이리저리 이동하는 여러 건들이 상당히 많이 발견돼…."
미국 등에서는 마이크로칩이 심지어 악성 종양과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서도 나왔습니다.
일반인이 칩에 담긴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서 주인을 찾기까지 이중, 삼중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도 맹점입니다.
어디 사는 누구의 개인지 알려면, 동물보호소 등에 유기견을 데려가 별도 리더기로 칩을 인식시키고, 이렇게 확인한 등록번호를 다시 동물관리시스템에 접속해 조회하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도입 2년째지만 반려견 등록률은 절반에 그칩니다.
버려지는 동물 역시 연간 8만~9만 마리씩 꾸준히 발생해, 유기를 줄이겠단 등록제의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입니다.
부작용 우려와 실효성 논란이 계속되지만, 정부는 보완책은 내놓지 못한 채 40만 원의 과태료만 강조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박유영입니다.
영상취재: 김준모 기자
영상편집: 양성훈
반려동물 등록제가 도입된지 2년이 지났지만, 실효성 논란은 끊이지 않습니다.
제도 자체를 잘 모르는데다, 등록 방식에 반려견주들의 불만이 많아서 등록률은 절반에 그칩니다.
박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유기견이었던 사랑이와 복덩이를 5년째 키우고 있는 박성진씨.
두 달 전 반려견들을 구청에 등록하고 고민 끝에 목에 외장형 마이크로칩을 달았지만, 불안한 마음은 여전합니다.
▶ 인터뷰 : 박성진 / 반려견 소유주
- "(내장형) 칩은 몸에 안 좋고 염증 생길 것 같아서 안 했고요. (외장형) 목걸이도 강아지들 천방지축 다니다 보면 끊어질 수 있을 것 같고…."
내장형이나 외장형 칩, 그리고 이름표 중 하나를 개한테 반드시 장착하도록 한 반려동물 등록제를 놓고 잡음이 끊이지 않습니다.
특히, 반려견 몸 안에 넣는 내장형 칩은 부작용 논란이 거셉니다.
▶ 인터뷰 : 박애경 / 한국애견협회 사무총장
- "(동물등록번호가) 읽히지 않는다거나 부종, 염증을 발생하거나 몸속에서 (칩이) 이리저리 이동하는 여러 건들이 상당히 많이 발견돼…."
미국 등에서는 마이크로칩이 심지어 악성 종양과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서도 나왔습니다.
일반인이 칩에 담긴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서 주인을 찾기까지 이중, 삼중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도 맹점입니다.
어디 사는 누구의 개인지 알려면, 동물보호소 등에 유기견을 데려가 별도 리더기로 칩을 인식시키고, 이렇게 확인한 등록번호를 다시 동물관리시스템에 접속해 조회하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도입 2년째지만 반려견 등록률은 절반에 그칩니다.
버려지는 동물 역시 연간 8만~9만 마리씩 꾸준히 발생해, 유기를 줄이겠단 등록제의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입니다.
부작용 우려와 실효성 논란이 계속되지만, 정부는 보완책은 내놓지 못한 채 40만 원의 과태료만 강조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박유영입니다.
영상취재: 김준모 기자
영상편집: 양성훈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