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백원우 전 청와대 민정비서관 밑에서 일했던 고(故) A 수사관의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을 하며 민정비서관실을 둘러싼 여러 의혹을 규명할 단서를 추적 중입니다.
오늘(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김태은 부장검사)는 전날 서초경찰서에서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A 수사관의 휴대전화를 대검찰청 디지털 포렌식 센터에 맡겼습니다.
경찰 관계자 2명도 디지털 포렌식 과정을 참관했습니다. 이는 전날 경찰이 A 수사관의 사망원인 규명 등에 필요하다며 포렌식 참여 등을 요청한 데 따른 것입니다.
검찰은 경찰이 포렌식 과정을 참관하는 것은 문제가 없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경찰에 압수수색 영장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을 공유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검찰은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받아 휴대전화·유서 등 유류품을 확보했습니다. 압수수색 영장에는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에 관련된 증거자료 확보를 위해서'라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법원도 압수수색 필요성에 대한 검찰의 소명을 받아들였습니다.
변사 사건은 경찰이 초동 수사를 하고 검찰은 지휘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검찰이 경찰 수사 중에 이례적으로 유류품을 가져간 것은 휴대전화가 '하명수사 의혹'을 풀 열쇠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검찰은 A 수사관이 숨지기 전에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유재수(55·구속)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감찰 무마 의혹 수사 진행 상황을 여러 차례 물었던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A수 사관이 참고인 조사를 앞두고 심리적인 압박감을 토로했다는 주변 진술도 살피고 있습니다.
여권에서는 검찰이 '별건수사' 등으로 A 수사관을 압박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또, 청와대를 겨냥한 검찰 수사 때문에 그의 심적 부담이 컸다는 얘기도 흘러나옵니다. 검찰은 신속하게 실체를 규명해 관련 의혹을 밝히겠다는 입장입니다.
A 수사관은 백 전 비서관 휘하의 민정비서관실에서 감찰반원으로 활동하다가 올해 2월 검찰에 복귀했습니다.
A 수사관 등은 감찰반원 신분으로 작년 1월 울산을 다녀온 적이 있습니다. 이를 두고 야당에서는 당시 울산경찰청이 진행하던 김기현 전 울산시장 주변의 비리 의혹 수사 상황을 점검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들 특감반원은 '별동대' 방식으로 움직였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감찰반원들이 울산지역 검경 갈등 사안이던 고래고기 환부사건 때문에 통상적 현장 점검을 위해 갔다고 반박했습니다.
청와대와 여권은 검찰이 과도한 압박을 가해 A 수사관이 극단적 선택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했습니다. 청와대는 하명수사를 지시한 바 없고 A 수사관이 김 전 시장 관련 첩보 문건과 관련이 없다는 취지로 해명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A 수사관 휴대전화의 통화 및 문자 메시지 송수신 내역, 일정, 메모 등을 전반적으로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민정비서관실 내 A 수사관의 업무와 사망 경위 등도 분석 과정에서 실마리가 나올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