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북한을 제재할 수 있는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틀 일정으로 방한한 토니 블링큰 미 국무부 부장관은 20일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중국은 북한과의 특별한 관계를 고려하면 ‘특별한 역할’이 있다”며 강력하고 포괄적 대북제재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을 거듭 촉구했다. 블링큰 부장관은 “북한의 모든 무역은 사실상 중국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중국은 다른 어떤 나라보다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영향력과 레버리지가 있다”며 “그래서 우리는 중국이 리더십을 보여주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한국에 도착한 블링큰 부장관은 이날 국방부와 외교부를 차례로 방문해 북한의 4차 핵실험 대응방안을 협의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국제사회가 단합해야 할 때”라면서 “이것은 ‘북한 대(對) 국제사회의 대결’”이라고 강조했다. 블링큰 부장관은 한국에서 일정을 마친 뒤 이날 베이징으로 향했다. 존 케리 미 국무부 장관도 27일 베이징을 방문할 예정이다.
미국이 북한의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란식 제재 모델을 적극 차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란 제재를 맡았던 피터 하렐 전 국무부 대테러금융제재 담당 부차관보는 19일(현지시간) 미국 의회 전문지인 ‘더 힐’에 기고한 글에서 “최근 미 하원 통과 대북 제재 강화법안은 북한의 군수사업과 핵분야와 관련된 불법활동에만 영향을 끼칠 뿐”이라며 “북한 핵 프로그램이나 불법 활동을 촉진하는 은행을 상대로만 금융제재를 가하지 말고 이란식 제재처럼 북한을 글로벌 금융시스템에서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의회 공식 보고서는 북한이 지난 6일 발표한 ‘수소탄 핵실험’은 증폭핵분열탄 또는 단순한 핵폭탄을 실험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 의회조사국(CRS)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내 많은 전문가들은 북한이 수소탄 핵실험 기술을 확보했을 것이라는 데 의구심을 갖고 있고, 다른 수소탄 실험과 비교해 (지진파 등) 상대적으로 위력이 낮은 점을 이유로 수소탄 실험이 아닐 것으로 추정했다. 이어 보고서는 “증폭핵분열탄은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북한의 ‘미니 수소탄 핵실험’ 주장을 설명하는 근거가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 이진명 특파원 / 서울 = 안두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