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과학비즈니스 벨트 입지 선정을 놓고 다시 분산 배치, 이른바 '쪼개기'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현재 확정된 정부 안은 없다며, 입지 선정은 과학벨트위원회가 6월까지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형오 기자
【 질문 】
과학비즈니스 벨트를 분산 배치한다는 얘기가 어디서 나오는 겁니까?
【 기자 】
네. 진원지는 일단 정치권입니다.
오늘 아침 일부 신문은 여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교육과학기술부가 과학벨트를 충청과 영남, 호남으로 분산배치하는 내용을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지난 4일 이명박 대통령이 신공항 백지화와 관련해 대구시장과 경북지사를 만난 자리에서 과학벨트 분산 배치를 언급했다는 보도까지 나와 논란을 키웠습니다.
그러나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오늘 과학벨트위원회 1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 시점에서 정부안은 없으며, 모든 것은 과학벨트위원회가 결정할 것이라며 보도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정경택 과학벨트기획단장도 오늘 아침 mbn 기자와 전화 통화에서 소설 같은 얘기라며 입지 선정은 결정된 게 없다고 밝혔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차관 6명과 민간위원 13명으로 구성된 과학벨트위원회는 오전 10시 첫 회의를 갖고 공식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대변인을 맡고 있는 이준승 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은 위원회가 여러 안을 놓고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며, 13일 2차 회의에서 입지 선정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과학벨트위원회는 6월까지 입지선정을 마칠 계획입니다.
교과부의 해명에도 과학벨트의 분산 배치 가능성을 아예 닫아두기는 어렵습니다.
박형준 청와대 사회특보는 어제 한 라디오에서 지금 조성하려는 것은 과학비즈니스도시가 아니라, 여러 지역에 걸친 벨트라며 분산 배치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은 충청권에 두되, 첨단융합복합센터와 같은 주변 시설은 영남과 호남으로 분산해 거대한 삼각형 과학벨트를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 질문 2】
하지만, 정작 과학계는 분산배치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지 않습니까?
【 기자 】
그렇습니다.
사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쪼개기 논란은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첨단 산업단지가 들어서는 과학벨트는 무려 17조 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보니 각 지역이 유치를 희망했습니다.
지난해 총리실이 국토연구원에 용역을 준 결과 세종시가 입지선정 평가에서 가장 앞섰지만,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면서 분산배치 얘기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 역시 당시 평가는 용역결과일 뿐이라며 의미를 축소했고,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과학벨트법은 과학벨트위원회가 입지 등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명시했습니다.
결국, 과학벨트 입지 선정이 원점으로 돌아온 셈입니다.
과학계는 분산 배치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원, 첨단 산업단지를 한곳에 묶어야 하는데 정치적 이해관계로 쪼개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충청권의 강한 반발과 영남과 호남의 강한 구애가 엇갈리면서 과학벨트는 세종시와 신공항에 이어 또다시 이명박 정부의 뇌관으로 급부상했습니다.
mbn뉴스 김형오입니다. [ hokim@mbn.co.kr ]
과학비즈니스 벨트 입지 선정을 놓고 다시 분산 배치, 이른바 '쪼개기'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현재 확정된 정부 안은 없다며, 입지 선정은 과학벨트위원회가 6월까지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형오 기자
【 질문 】
과학비즈니스 벨트를 분산 배치한다는 얘기가 어디서 나오는 겁니까?
【 기자 】
네. 진원지는 일단 정치권입니다.
오늘 아침 일부 신문은 여권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교육과학기술부가 과학벨트를 충청과 영남, 호남으로 분산배치하는 내용을 청와대에 보고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지난 4일 이명박 대통령이 신공항 백지화와 관련해 대구시장과 경북지사를 만난 자리에서 과학벨트 분산 배치를 언급했다는 보도까지 나와 논란을 키웠습니다.
그러나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오늘 과학벨트위원회 1차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 시점에서 정부안은 없으며, 모든 것은 과학벨트위원회가 결정할 것이라며 보도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정경택 과학벨트기획단장도 오늘 아침 mbn 기자와 전화 통화에서 소설 같은 얘기라며 입지 선정은 결정된 게 없다고 밝혔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차관 6명과 민간위원 13명으로 구성된 과학벨트위원회는 오전 10시 첫 회의를 갖고 공식 활동에 들어갔습니다.
대변인을 맡고 있는 이준승 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은 위원회가 여러 안을 놓고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며, 13일 2차 회의에서 입지 선정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과학벨트위원회는 6월까지 입지선정을 마칠 계획입니다.
교과부의 해명에도 과학벨트의 분산 배치 가능성을 아예 닫아두기는 어렵습니다.
박형준 청와대 사회특보는 어제 한 라디오에서 지금 조성하려는 것은 과학비즈니스도시가 아니라, 여러 지역에 걸친 벨트라며 분산 배치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은 충청권에 두되, 첨단융합복합센터와 같은 주변 시설은 영남과 호남으로 분산해 거대한 삼각형 과학벨트를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 질문 2】
하지만, 정작 과학계는 분산배치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지 않습니까?
【 기자 】
그렇습니다.
사실 과학비즈니스벨트의 쪼개기 논란은 오래전부터 있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첨단 산업단지가 들어서는 과학벨트는 무려 17조 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보니 각 지역이 유치를 희망했습니다.
지난해 총리실이 국토연구원에 용역을 준 결과 세종시가 입지선정 평가에서 가장 앞섰지만, 세종시 수정안이 국회에서 부결되면서 분산배치 얘기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 역시 당시 평가는 용역결과일 뿐이라며 의미를 축소했고,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과학벨트법은 과학벨트위원회가 입지 등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명시했습니다.
결국, 과학벨트 입지 선정이 원점으로 돌아온 셈입니다.
과학계는 분산 배치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습니다.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원, 첨단 산업단지를 한곳에 묶어야 하는데 정치적 이해관계로 쪼개서는 안 된다는 겁니다.
충청권의 강한 반발과 영남과 호남의 강한 구애가 엇갈리면서 과학벨트는 세종시와 신공항에 이어 또다시 이명박 정부의 뇌관으로 급부상했습니다.
mbn뉴스 김형오입니다. [ hokim@mbn.co.kr ]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