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놀이터에서 노는 동안 피부접촉이나 호흡 또는 손을 입으로 가져가는 행위 등을 통해 바닥 면의 유해물질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게 1급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을 포함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입니다.
놀이터 바닥은 모래(흙)가 깔려있거나 물리적인 완충을 위해 고무로 포장된 게 대부분입니다. 문제는 유해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인체에 해롭긴 한데, 어떤 놀이터가 얼마나 더 해로운지 잘 모른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바닥 겉면이 고무로 돼 있는 어린이 놀이터의 먼지 속에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모래만으로 이루어진 놀이터의 토양·먼지 속보다 평균 4.3배 많이 들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권정환 교수팀은 서울 시내 어린이 놀이터 15곳 중 고무 표층을 설치한 놀이터(10곳)와 고무 표층 없이 모래(흙)로 된 놀이터(5곳)의 지표 토양 및 먼지 샘플을 수집해 PAHs 농도를 측정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이 결과는 국제학술지 '환경지구화학과 건강'(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분석결과 전체 놀이터에서 벤조피렌을 비롯해 나프탈렌, 아세나프틸렌, 페난트렌, 안트라센 등 총 16종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2.82∼57.93㎍/g 농도 수준에서 검출됐습니다.
연구팀은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고분자량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경우 주로 차량의 배기가스나 화석연료의 연소에 기인한 것으로 봤습니다.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분자량이 적으면 자연환경에서 분해되지만, 벤젠고리 수가 증가해 분자량이 커지면 먼지 등에 흡착돼 오래 남아 있게 됩니다. 그만큼 인체에 유입될 우려가 커지는 셈입니다.
이 논문을 보면 고무표층이 처리된 놀이터의 토양과 먼지에서 검출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평균 농도는 18.1㎍/g(4.91∼57.93)으로 모래 놀이터의 4.18㎍/g(2.82∼6.46)보다 4.3배가량 높았습니다.
이는 고무바닥 놀이터의 토양과 먼지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더 잘 흡수할 수 있는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는 게 연구팀의 추정입니다.
특히 환경 유해 요인의 위해성을 계산하는 '몬테카를로 평가'로 고무 표층이 처리된 놀이터의 발암 위해도와 모래 놀이터에서의 발암 위해도에 비교한 결과 고무 표층 놀이터의 위해도가 10.2배 높은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다만, 연구팀은 이런 비교 수치가 놀이터 표층의 토양과 먼지 입자를 섭취하거나 호흡할 때 여기에 포함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가 모두 체내로 흡수된다는 '최악의 조건'을 가정했다는 단서를 달았습니다.
권정환 교수는 "이 연구는 단순히 위해성만을 평가한 것"이라며 "실제 두 놀이터 간 발암 위험성을 보다 정교하게 분석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와 관련, 임종한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교실 교수는 "놀이터에서 검출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유해성이 이 정도로 추정된다면 당연히 고무바닥을 걷어내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하지만, 모래의 경우에도 중금속 오염도 등 측면에서는 또 다른 유해성이 있을 수도 있는 만큼 여러 가지 위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