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도 ‘너무’ 다른…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연구 결과 공개
달라도 ‘너무’ 다른…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를 연구한 결과가 등장해 눈길을 글고 있다.
지난 7일 박선우 계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가 현대문법연구에 게재한 논문 ‘SNS 모바일 텍스트의 언어학적 양성’을 보면 독특한 내용이 담겨있다.
박 교수는 페이스북에서 댓글을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의 댓글을 성별로 50개씩 총 400건을 수집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우선 텍스트 길이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남성이 평균 41.18바이트, 여성이 평균 41.61바이트로 글을 썼다.
스마트폰이 아닌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여성의 텍스트가 남성의 텍스트보다 길었다는 과거의 분석결과와 상반된다.
길이에 상관없이 한 건당 30원씩 문자메시지 이용료가 부과되던 환경과 달리, 요즘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 요금을 부과하거나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으로 박 교수는 분석했다.
하지만, 이모티콘과 문장부호 사용량에서는 확연한 차이가 드러났다. 여성이 이모티콘이나 문장부호와 같은 비언어적, 시각적 기호를 많이 썼다.
페이스북 텍스트 한 건 당 남성은 평균 0.36자, 여성은 평균 0.90자의 이모티콘을 사용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은 이모티콘 문자를 쓴 셈.
박 교수는 “정보 전달보다는 사교적 기능이 강한 SNS에서 여성이 감정과 느낌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려는 경향이 남성보다 강하다”고 설명했다.
남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SNS 화법 특징도 있다. 바로 사투리다.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글을 수집해보니 성별로는 남성이, 연령대별로는 20대가 지역어의 변이형을 자주 사용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지역어에 우호적이고, 여성이 남성보다 표준어 지향태도가 뚜렷하기 때문이라는 게 박 교수의 분석이다.
SNS 남녀 화법차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은 “SNS 남녀 화법차이, 맞네 남자들은 이모티콘 잘 안쓰지” “SNS 남녀 화법차이, 난 잘 쓰는데” “SNS 남녀 화법차이, 확실히 다르긴 한 듯”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 연구 결과 공개
달라도 ‘너무’ 다른…SNS 남녀 화법차이
SNS 남녀 화법차이를 연구한 결과가 등장해 눈길을 글고 있다.
지난 7일 박선우 계명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가 현대문법연구에 게재한 논문 ‘SNS 모바일 텍스트의 언어학적 양성’을 보면 독특한 내용이 담겨있다.
박 교수는 페이스북에서 댓글을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의 댓글을 성별로 50개씩 총 400건을 수집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우선 텍스트 길이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남성이 평균 41.18바이트, 여성이 평균 41.61바이트로 글을 썼다.
스마트폰이 아닌 휴대전화로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 여성의 텍스트가 남성의 텍스트보다 길었다는 과거의 분석결과와 상반된다.
길이에 상관없이 한 건당 30원씩 문자메시지 이용료가 부과되던 환경과 달리, 요즘은 패킷 단위로 데이터 요금을 부과하거나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하려고 노력하지 않는 것으로 박 교수는 분석했다.
하지만, 이모티콘과 문장부호 사용량에서는 확연한 차이가 드러났다. 여성이 이모티콘이나 문장부호와 같은 비언어적, 시각적 기호를 많이 썼다.
페이스북 텍스트 한 건 당 남성은 평균 0.36자, 여성은 평균 0.90자의 이모티콘을 사용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은 이모티콘 문자를 쓴 셈.
박 교수는 “정보 전달보다는 사교적 기능이 강한 SNS에서 여성이 감정과 느낌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려는 경향이 남성보다 강하다”고 설명했다.
남성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SNS 화법 특징도 있다. 바로 사투리다.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글을 수집해보니 성별로는 남성이, 연령대별로는 20대가 지역어의 변이형을 자주 사용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지역어에 우호적이고, 여성이 남성보다 표준어 지향태도가 뚜렷하기 때문이라는 게 박 교수의 분석이다.
SNS 남녀 화법차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은 “SNS 남녀 화법차이, 맞네 남자들은 이모티콘 잘 안쓰지” “SNS 남녀 화법차이, 난 잘 쓰는데” “SNS 남녀 화법차이, 확실히 다르긴 한 듯”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