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통중인 콜라 제품들의 4-메틸이미다졸(4-MI) 함량이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국내 유통중인 8개사 16개 콜라 제품의 4-MI 함량을 조사한 결과, 평균 0.271ppm(mg/kg)으로 미국, 영국, 일본 등과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8일 밝혔다.
4-MI는 식품이나 음료 제조과정에서 가열이나 갈색화 반응, 발효 공정에서 자연적으로 미량 생성되며, 콜라의 경우에는 콜라의 원료인 카라멜 색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될 수 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 유럽 등 대부분의 국가는 카라멜 색소 제조과정에서 4-MI를 250ppm 이하로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코카콜라’는 최소 0.188ppm에서 최대 0.234ppm을, ‘펩시콜라’는 최소 0.247ppm에서 최대 0.459ppm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에서 유통중인 코카콜라의 4-MI 평균함량은 미국은 0.4ppm, 캐나다·맥시코·영국은 0.4~0.45ppm, 일본은 0.2ppm, 브라질은 0.75ppm 수준이다.
4-MI 함유량의 차이는 콜라에 첨가하는 카라멜 색소 양(0.13~0.35%)과 각각의 콜라에 사용된 카라멜 색소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에 조사된 콜라 중 4-MI 노출량은 평균 0.271ppm으로 카라멜 색소 중 4-MI 기준인 250ppm에 비해 약 0.1% 수준으로 매우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강조했다.
문애경 매경헬스 [moon902@mkhealth.co.kr]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국내 유통중인 8개사 16개 콜라 제품의 4-MI 함량을 조사한 결과, 평균 0.271ppm(mg/kg)으로 미국, 영국, 일본 등과 유사하거나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8일 밝혔다.
4-MI는 식품이나 음료 제조과정에서 가열이나 갈색화 반응, 발효 공정에서 자연적으로 미량 생성되며, 콜라의 경우에는 콜라의 원료인 카라멜 색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될 수 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 유럽 등 대부분의 국가는 카라멜 색소 제조과정에서 4-MI를 250ppm 이하로 기준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코카콜라’는 최소 0.188ppm에서 최대 0.234ppm을, ‘펩시콜라’는 최소 0.247ppm에서 최대 0.459ppm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에서 유통중인 코카콜라의 4-MI 평균함량은 미국은 0.4ppm, 캐나다·맥시코·영국은 0.4~0.45ppm, 일본은 0.2ppm, 브라질은 0.75ppm 수준이다.
4-MI 함유량의 차이는 콜라에 첨가하는 카라멜 색소 양(0.13~0.35%)과 각각의 콜라에 사용된 카라멜 색소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식약청 관계자는 “이번에 조사된 콜라 중 4-MI 노출량은 평균 0.271ppm으로 카라멜 색소 중 4-MI 기준인 250ppm에 비해 약 0.1% 수준으로 매우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강조했다.
문애경 매경헬스 [moon902@mkhealth.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