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정예인 기자] 영화 ‘순수의 시대’가 선정성으로 이목을 집중시키면서,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데는 성공했다. 그러나 호기심과 작품에 대한 평가는 다르게 봐야 할 듯 싶다. 배우들의 빛나는 연기력에 비해 ‘욕망 과잉’의 연출력이 아쉽기 때문이다.
“영웅이나 천재의 이야기가 아닌 기록에서 사라진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싶었다”던 안상훈 감독은 ‘순수의 시대’ 속에 권력자들 손에 놀아나는 남녀, 그들의 로맨스에다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한 소년, 출생의 비밀로 인한 비극까지 녹여내려 했다. 지나치게 많은 내용을 보려주려 한 탓인지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1398년, 태조가 나라를 다스릴 당시 왕자의 책봉을 두고 많은 논쟁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태조의 다섯 번째 아들 이방원은 반대파인 정도전 일파를 숙청하는 ‘왕자의 난’을 일으킨 후 왕위에 올랐다. ‘순수의 시대’에는 이방원이 태종이라는 왕명을 갖기 이전, 즉 ‘피의 숙청’이 일어나기 이전의 시기를 가상으로 그렸다.
극의 중심에는 장군 김민재(신하균 분)가 있다. 그는 외적을 무찌른 공으로 전군 총 사령관에 임명될 만큼의 뛰어난 무술실력을 보유한 무관이다. 김민재는 왕의 최측근인 정도전(이재용 분)의 사위로, 자신의 약점을 쥔 정도전이 시키는 일이라면 모두 하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사랑에 빠지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김민재는 자신의 어머니를 닮은 춤사위를 지닌 기녀, 가희(강한나 분)를 보고서 첫 눈에 반한다. 가희는 올곧고 자신만의 신념을 가진 모습으로 김민재와 마음을 나누고 몸까지 섞는다. 두 사람의 정사신은 그저 선정적으로만 표현되지 않는다. 강한나가 “두 사람(김민재와 가희)은 관계를 맺을 때 순수한 남녀로 만난다. 그런 감정적인 교감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한 측면이다.
그러나 아쉬운 부분은 그런 교감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다. 자연스럽게 지나쳐도 무관할 상황에도 끼어드는 정사신이 극의 흐름을 무너뜨리기 일쑤다. 김민재의 애절함, 가희의 심리적 갈등, 두 사람이 마주한 이해관계 등을 모두 정사신으로 매듭 지으려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선정성이 부각되는 작품일수록 완성도가 중요하다. 자칫 관객의 기억 속에 정사신만 남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작품이 단편적으로 기억되지 않으려면 장면 하나하나가 설득력을 가져야 한다. 그런 면에서 극의 초반, 정치적인 암투를 벌이는 장면이 후반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점이 아쉽다.
물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인물들의 개인사를 담아내고 싶었다는 감독의 의도는 이해하겠지만, 개인사에 치중한 나머지 역사적 고증이 용두사미로 그친 점은 아쉽다. 3월5일 개봉.
정예인 기자 yein6120@mkculture.com/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
“영웅이나 천재의 이야기가 아닌 기록에서 사라진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고 싶었다”던 안상훈 감독은 ‘순수의 시대’ 속에 권력자들 손에 놀아나는 남녀, 그들의 로맨스에다 아버지에게 인정받지 못한 소년, 출생의 비밀로 인한 비극까지 녹여내려 했다. 지나치게 많은 내용을 보려주려 한 탓인지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1398년, 태조가 나라를 다스릴 당시 왕자의 책봉을 두고 많은 논쟁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태조의 다섯 번째 아들 이방원은 반대파인 정도전 일파를 숙청하는 ‘왕자의 난’을 일으킨 후 왕위에 올랐다. ‘순수의 시대’에는 이방원이 태종이라는 왕명을 갖기 이전, 즉 ‘피의 숙청’이 일어나기 이전의 시기를 가상으로 그렸다.
극의 중심에는 장군 김민재(신하균 분)가 있다. 그는 외적을 무찌른 공으로 전군 총 사령관에 임명될 만큼의 뛰어난 무술실력을 보유한 무관이다. 김민재는 왕의 최측근인 정도전(이재용 분)의 사위로, 자신의 약점을 쥔 정도전이 시키는 일이라면 모두 하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사랑에 빠지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김민재는 자신의 어머니를 닮은 춤사위를 지닌 기녀, 가희(강한나 분)를 보고서 첫 눈에 반한다. 가희는 올곧고 자신만의 신념을 가진 모습으로 김민재와 마음을 나누고 몸까지 섞는다. 두 사람의 정사신은 그저 선정적으로만 표현되지 않는다. 강한나가 “두 사람(김민재와 가희)은 관계를 맺을 때 순수한 남녀로 만난다. 그런 감정적인 교감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말한 측면이다.
그러나 아쉬운 부분은 그런 교감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다. 자연스럽게 지나쳐도 무관할 상황에도 끼어드는 정사신이 극의 흐름을 무너뜨리기 일쑤다. 김민재의 애절함, 가희의 심리적 갈등, 두 사람이 마주한 이해관계 등을 모두 정사신으로 매듭 지으려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선정성이 부각되는 작품일수록 완성도가 중요하다. 자칫 관객의 기억 속에 정사신만 남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작품이 단편적으로 기억되지 않으려면 장면 하나하나가 설득력을 가져야 한다. 그런 면에서 극의 초반, 정치적인 암투를 벌이는 장면이 후반부로 갈수록 줄어드는 점이 아쉽다.
물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인물들의 개인사를 담아내고 싶었다는 감독의 의도는 이해하겠지만, 개인사에 치중한 나머지 역사적 고증이 용두사미로 그친 점은 아쉽다. 3월5일 개봉.
정예인 기자 yein6120@mkculture.com/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