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그러면 노동진 수협중앙회 회장 직접 모시고 우리 수산물 관련해서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회장님.
【 답변 】
네. 반갑습니다.
【 질문1 】
앞서 잠깐 화면으로 봤는데 김 얘기부터 해보겠습니다. 김이 해외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잖아요. 인기 비결이 뭡니까?
【 답변 】
제일 1번은 우리 K-팝이 세계를 누비면서 활동했던 게 제일 영향이 컸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김이 세계시장의 한 70% 정도를 우리 대한민국 김이 점유하는데, 김의 질이 상당히 높죠 다른 지역보다는.
김밥 김부터 두께의 변화를 잘 주면서 세계 각국의 사람들에게 기호에 맞게끔 잘했죠.
그래서 금년까지 한 8억 불 (수출)했는데, 금년에는 한 10억 불 안 되겠나 지금 목표로 하고 있죠.
【 질문1-1 】
김이 이제 새로운 한류를 이끄는 아주 핵심 무기가 될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김 우리나라에서 좋은 김이 많이 생산되면 더 좋잖아요 어민들에게도.
그런데 뉴스를 보면 김 생산량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걱정이에요 그 부분은.
【 답변 】
그게 물론 대비는 합니다만 기후 변화 때문에 김은 2월에서 4월 생산되는 게 맞는데, 수온이 자꾸만 올라가니까 생산 주기가 적어지는 거예요.
그래서 생산량이 적으니까 가격이 올라갈 뿐 아니고, 그래서 지금 우리 수산과학연구원에서 빠른 시일 안에 김의 종묘를 개발해라. 농촌에서 딸기 생산하듯이, 딸기 종묘를 새로 만들듯이 해서 그런 기후를 이길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서 빨리 세계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런 준비가 꼭 빨리 필요하죠.
【 질문1-2 】
김 생산 어가도 소득이 많이 줄었어요?
【 답변 】
소득은 좀 줄었죠. 생산량이 적어지고, 그리고 단가가 비싸니까 그래서 국내 소비가 조금 주춤거릴 수는 있죠.
그리고 이제 세계로 수출하는 것도 가격 경쟁에서, 예를 들어서 베트남이나 중국이나 타 국가에 비해서 가격 경쟁에서 너무나 큰 편차가 있으면 접근하기가 좀 어려워질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그런 준비 때문에 김 생산자들이 고민이 조금 있죠.
【 질문2-1 】
아. 그들 나라에서도 김을 생산해서 우리와 경쟁하는군요.
오징어도 사실 고성이나 속초에 가면 오징어잡이 배들이 출항을 못 하고 그냥 항구에 정박해 있는 모습들을 굉장히 많이 보거든요.
그만큼 오징어 어획량이 줄었다는 뜻 아니에요? 오징어는 다 어디로 간 거예요?
【 답변 】
글쎄요. 제가 궁금한데 어디로 갔는지. 갔으면 빨리 좀 돌아왔으면 좋겠는데, 지금 오징어 생산량이 그냥 줄었다 표현이 아니고 거의 95%가 줄었습니다.
【 질문2-2 】
씨가 말랐다?
【 답변 】
네 말랐습니다. 이제 우리가 명태가 동해안에서 사라지듯이 오징어도 금년에 만약에 문제가 2~3년 전과 같이 발생한다면 이 업은 접어야 한다.
【 질문2-3 】
(오징어잡이) 배를 줄여야 하는 건가요?
【 답변 】
예. 어획량에 비례해서 선단을 만들어야지 고기는 100마리 나는데 1,000마리 잡겠다는 선단이 구성돼 있으면 그 어업인들의 생산량은, 그리고 소득은 현저히 어업을 영위할 수 없을 정도가 되니 그렇다는 말입니다.
【 질문2-4 】
그럼 배를 줄이는 거에 대한 어떤 보상을 해줘야죠? 그분들이 배 줄이고 어업을 안 하면 안 되잖아요.
【 답변 】
네. 국가에서 감축하는 제도가 있죠. 그리고 그 감축 제도가 현실하고 안 맞다 보니까 어민들이 자꾸만 회피하는 거예요.
그래서 감축할 수 있는 방법을 법적인 걸 좀 고쳐서라도 어업인이 이 업을 놓고 난 다음에 뭘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순차적으로 해드려야죠.
그래서 감축해서 그래서 젊은 귀어인들이 경제성이 보장될 수 있는 그 감축하고 남은 선단을 젊은 귀어인에게 줘서 귀어인이 어촌에서 생활하면서 경제적인 문화적인 모든 것을 누릴 수 있는 그런 정책으로 가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정부가 고민해야 합니다.
【 질문3 】
어획량이 주는 것도 어민들에게 큰 생계적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마는 요즘 저출산이 다 난리지 않습니까?
저출산에 따라서 어촌 지역에서 인구가 줄고 고령화가 돼 가는 것 이것도 우리 어업의 미래에 굉장히 치명적인 타격이 되는 거 아닌가요?
여기에 대해서도 수협중앙회가 나 몰라라 할 수는 없는 거 아닙니까?
【 답변 】
전국 91개 수협에서 유일하게 처음으로, 통영에 있는 멍게수협에서 직원이 애를 낳으면 한 호봉을 승진해 주겠다.
그런 정책을 내는 수협에게 우리가 지원을 해주거나 해서 저출산을 좀 더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를 중앙회에서 금년부터 고민을 하자. 그래서 아마 3월 전국 조합장이 모이는 자리에서 제가 메시지를 줄 참입니다.
【 질문4 】
회장님 말씀 들어보니까 그냥 얼굴에 지난해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때문에 근심 걱정, 올해는 말씀하신 여러 가지 어획량 감소라든지, 어촌 인구 감소 등으로 근심이 그득하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벌써 취임하신 지 1년이 지났어요?
【 답변 】
제가 1년을 돌이켜보면 정말 좀 절박함이 뇌리에 있는 거예요.
어떤 정책을 어떻게 해서 어업인에게 줬으면 좋겠는데, 제가 회장이 되면서 공유했던 공약했던 진짜 어업인이 행복한 세상을 만들고 싶은데 접근할 시간을 안 주는 거예요.
그걸 1년을 보냈는데, 지금 또 무슨 그림을 그려보려 하니 이런 자꾸 사고에 이런 일들 때문에 더 절박한 게 먼저 오니까.
그러나 제가 약속했던 일 하나하나는 준비해서 이제 거쳐 나갈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노동진 수협중앙회장과 얘기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러면 노동진 수협중앙회 회장 직접 모시고 우리 수산물 관련해서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회장님.
【 답변 】
네. 반갑습니다.
【 질문1 】
앞서 잠깐 화면으로 봤는데 김 얘기부터 해보겠습니다. 김이 해외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잖아요. 인기 비결이 뭡니까?
【 답변 】
제일 1번은 우리 K-팝이 세계를 누비면서 활동했던 게 제일 영향이 컸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 김이 세계시장의 한 70% 정도를 우리 대한민국 김이 점유하는데, 김의 질이 상당히 높죠 다른 지역보다는.
김밥 김부터 두께의 변화를 잘 주면서 세계 각국의 사람들에게 기호에 맞게끔 잘했죠.
그래서 금년까지 한 8억 불 (수출)했는데, 금년에는 한 10억 불 안 되겠나 지금 목표로 하고 있죠.
【 질문1-1 】
김이 이제 새로운 한류를 이끄는 아주 핵심 무기가 될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좋은 김 우리나라에서 좋은 김이 많이 생산되면 더 좋잖아요 어민들에게도.
그런데 뉴스를 보면 김 생산량이 갈수록 줄고 있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걱정이에요 그 부분은.
【 답변 】
그게 물론 대비는 합니다만 기후 변화 때문에 김은 2월에서 4월 생산되는 게 맞는데, 수온이 자꾸만 올라가니까 생산 주기가 적어지는 거예요.
그래서 생산량이 적으니까 가격이 올라갈 뿐 아니고, 그래서 지금 우리 수산과학연구원에서 빠른 시일 안에 김의 종묘를 개발해라. 농촌에서 딸기 생산하듯이, 딸기 종묘를 새로 만들듯이 해서 그런 기후를 이길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서 빨리 세계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런 준비가 꼭 빨리 필요하죠.
【 질문1-2 】
김 생산 어가도 소득이 많이 줄었어요?
【 답변 】
소득은 좀 줄었죠. 생산량이 적어지고, 그리고 단가가 비싸니까 그래서 국내 소비가 조금 주춤거릴 수는 있죠.
그리고 이제 세계로 수출하는 것도 가격 경쟁에서, 예를 들어서 베트남이나 중국이나 타 국가에 비해서 가격 경쟁에서 너무나 큰 편차가 있으면 접근하기가 좀 어려워질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그런 준비 때문에 김 생산자들이 고민이 조금 있죠.
【 질문2-1 】
아. 그들 나라에서도 김을 생산해서 우리와 경쟁하는군요.
오징어도 사실 고성이나 속초에 가면 오징어잡이 배들이 출항을 못 하고 그냥 항구에 정박해 있는 모습들을 굉장히 많이 보거든요.
그만큼 오징어 어획량이 줄었다는 뜻 아니에요? 오징어는 다 어디로 간 거예요?
【 답변 】
글쎄요. 제가 궁금한데 어디로 갔는지. 갔으면 빨리 좀 돌아왔으면 좋겠는데, 지금 오징어 생산량이 그냥 줄었다 표현이 아니고 거의 95%가 줄었습니다.
【 질문2-2 】
씨가 말랐다?
【 답변 】
네 말랐습니다. 이제 우리가 명태가 동해안에서 사라지듯이 오징어도 금년에 만약에 문제가 2~3년 전과 같이 발생한다면 이 업은 접어야 한다.
【 질문2-3 】
(오징어잡이) 배를 줄여야 하는 건가요?
【 답변 】
예. 어획량에 비례해서 선단을 만들어야지 고기는 100마리 나는데 1,000마리 잡겠다는 선단이 구성돼 있으면 그 어업인들의 생산량은, 그리고 소득은 현저히 어업을 영위할 수 없을 정도가 되니 그렇다는 말입니다.
【 질문2-4 】
그럼 배를 줄이는 거에 대한 어떤 보상을 해줘야죠? 그분들이 배 줄이고 어업을 안 하면 안 되잖아요.
【 답변 】
네. 국가에서 감축하는 제도가 있죠. 그리고 그 감축 제도가 현실하고 안 맞다 보니까 어민들이 자꾸만 회피하는 거예요.
그래서 감축할 수 있는 방법을 법적인 걸 좀 고쳐서라도 어업인이 이 업을 놓고 난 다음에 뭘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순차적으로 해드려야죠.
그래서 감축해서 그래서 젊은 귀어인들이 경제성이 보장될 수 있는 그 감축하고 남은 선단을 젊은 귀어인에게 줘서 귀어인이 어촌에서 생활하면서 경제적인 문화적인 모든 것을 누릴 수 있는 그런 정책으로 가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정부가 고민해야 합니다.
【 질문3 】
어획량이 주는 것도 어민들에게 큰 생계적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마는 요즘 저출산이 다 난리지 않습니까?
저출산에 따라서 어촌 지역에서 인구가 줄고 고령화가 돼 가는 것 이것도 우리 어업의 미래에 굉장히 치명적인 타격이 되는 거 아닌가요?
여기에 대해서도 수협중앙회가 나 몰라라 할 수는 없는 거 아닙니까?
【 답변 】
전국 91개 수협에서 유일하게 처음으로, 통영에 있는 멍게수협에서 직원이 애를 낳으면 한 호봉을 승진해 주겠다.
그런 정책을 내는 수협에게 우리가 지원을 해주거나 해서 저출산을 좀 더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를 중앙회에서 금년부터 고민을 하자. 그래서 아마 3월 전국 조합장이 모이는 자리에서 제가 메시지를 줄 참입니다.
【 질문4 】
회장님 말씀 들어보니까 그냥 얼굴에 지난해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때문에 근심 걱정, 올해는 말씀하신 여러 가지 어획량 감소라든지, 어촌 인구 감소 등으로 근심이 그득하신 것 같습니다. 그런데 벌써 취임하신 지 1년이 지났어요?
【 답변 】
제가 1년을 돌이켜보면 정말 좀 절박함이 뇌리에 있는 거예요.
어떤 정책을 어떻게 해서 어업인에게 줬으면 좋겠는데, 제가 회장이 되면서 공유했던 공약했던 진짜 어업인이 행복한 세상을 만들고 싶은데 접근할 시간을 안 주는 거예요.
그걸 1년을 보냈는데, 지금 또 무슨 그림을 그려보려 하니 이런 자꾸 사고에 이런 일들 때문에 더 절박한 게 먼저 오니까.
그러나 제가 약속했던 일 하나하나는 준비해서 이제 거쳐 나갈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앵커멘트 】
노동진 수협중앙회장과 얘기 나눠봤습니다. 고맙습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