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C그룹 계열사 5곳의 국내 빵류 제조업 시장 점유율이 80%를 넘으면서 사실상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빵류 제조업체로 지난해 매출 수치가 있는 82곳의 전체 매출(별도 기준)은 4조5172억9300만원으로 조사됐다. 그 중 SPC그룹 계열사 5곳의 매출은 3조7658억1200만원으로 83.4%를 차지했다.
SPC그룹 계열사 5곳은 매출 상위 5곳에 포진했다. 파리바게뜨 등을 운영하는 파리크라상이 1조8511억9900만원으로 41.0%에 기록했다. 삼립호빵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SPC삼립은 1조3693억3900만원으로 30.3%였다.
또 최근 경기 평택 제빵공장에서 20대 노동자의 사망 사고가 발생한 SPL은 2575억8700만원으로 5.7%, 40대 노동자가 기계에 손가락이 껴 절단되는 사고를 당한 샤니는 2222억4300만원으로 4.9%, 호남샤니는 654억4400만원으로 1.4% 등이다.
이어 로쏘(628억6만원), 서울식품공업(552억9800만원), 신라명과(552억5500만원), 푸드코아(430억7300만원), 유로베이크(378억5800만원) 등 순을 기록했다.
빵류 제조업체 82곳의 평균 매출은 550억8900만원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파리크라상 매출은 평균치의 33.6배였고 SPC삼립은 24.9배, SPL은 4.7배였다.
지난해 영업이익을 살펴보면 SPC삼립이 650억2700만원으로 1위였다. 이어 파리크라상(334억4400만원), 로쏘(105억500만원), SPL(72억2500만원), 유로베이크(52억1600만원) 등 순이었다.
SPC삼립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전체 평균(22억9400만원)의 28.3배, 파리크라상은 14.6배였다.
![지난 24일 SPC그룹 샤니 성남 공장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22/10/25/512212115252.jpeg)
지난 24일 SPC그룹 샤니 성남 공장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제빵 산업은 초기에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하고 유지·보수 비용도 적지 않은 편이다. 제품 생산을 위한 높은 기술력과 상온·냉장·냉동 등의 유통 물류시스템이 필요해 시장에 신규 진입하기가 어렵다.이 때문에 SPC그룹 계열사들이 편의점·슈퍼마켓 등에서 판매되는 양산빵 시장을 거의 싹쓸이하고 있는 실정이다. 올해 큰 인기를 누린 포켓몬빵도 SPC그룹 제품이다.
베이커리 시장에서도 파리바게뜨·파리크라상이 시장을 주도하며 CJ푸드빌의 뚜레쥬르와 경쟁하는 정도에 그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SPC 브랜드 가맹점은 2020년 말 기준 파리바게뜨 3425개, 배스킨라빈스 1466개, 던킨도너츠 579개, 파스쿠찌 491개 등 6000개 이상이다.
한편 SPC그룹은 이날 시장 독점 논란이 불거지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통계가 제빵 시장 현황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지 않아 오해를 살 수 있다고 해명했다. 산업분류 체계에 따라 ‘빵류 제조업’으로 등록된 업체만 비교했다는 것이다.
SPC그룹은 ‘빵류 제조업’ 리스트에 자사의 파리크라상이 포함됐지만, 업계 2위 뚜레쥬르를 보유한 CJ푸드빌은 반영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CJ푸드빌이 산업분류 상 ‘서양식 음식점업’으로 등록되어 있어 누락됐다는 것이다. SPC그룹은 신세계푸드 등 빵류 제품을 제조하거나, 베이커리를 운영하는 타 기업들이 모두 통계에 누락되어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SPC 관계자는 “기존 수치에 CJ푸드빌의 (지난해) 매출만 더해도 전체 시장 크기는 5조514억원으로 늘어난다”며 “‘개인제과점’ 규모가 2016년에 약 2조3353억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내 전체 제빵시장 크기는 최소 7조40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자사의 점유율은 약 40% 후반 정도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아영 매경닷컴 기자/ 이상현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