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중립 이행과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기업들의 친환경 설비투자를 지원하는 융자 지원 산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신청 기업의 96%가 중소·중견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책임·투명경영(ESG)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대기업들과 달리 친환경 설비 투자 리스크를 감내할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정부 지원에 의지하는 모양새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총 1조6668억원 규모의 '2022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 사업' 접수 결과, 총 51개 업체가 3년간 사업비 4472억원의 투자자금 융자 지원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융자사업 신청·접수결과를 분석하면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분야를 위주로 탄소중립을 위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융자지원 신청액 대부분은 시설투자로, 전체 신청액의 약 87%(3874억원)를 차지했고, 나머지 13%(598억원)는 R&D 투자 신청액이다.
정부는 이같은 신청 결과를 국내 산업계가 2030 산업부문 NDC 달성을 위해 시설투자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의미로 봤다. 특히 기업 유형별로 중소·중견기업이 전체 신청 기업의 96.1%(49곳), 신청금액도 중소·중견기업이 전체 규모의 83.8%(3746억원)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산업부 관계자는 "탄소중립 시설에 대한 투자는 일반 투자 보다 리스크가 더 많다"며 "따라서 중소·중견기업들도 친환경 시설로의 전환이 필요하지만 이들 사업은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업 지원 대상에 선정될 경우 기업들은 총 10년(3년 거치, 7년 분할상환)에 걸쳐 저리(1.3%)에 융자금을 상환하면 된다. 프로젝트 유형별로는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자원순환, 철강 등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과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분야가 대부분을(64.7%, 33곳) 차지했다. 구체적으로 자원순환(10곳), CCUS(4곳), 정유·석유화학(4곳), 시멘트·철강(4곳), 수소생산·차세대태양광(3곳), 이차전지·전기전자(3곳) 등과 관련된 설비 투자 지원을 요청했다.
가령 철강업을 영위하는 A기업은 유연탄을 많이 쓰는 고로(용광로)에 비해 탄소배출량이 25%에 불과한 전기로를 도입하는 사업을 위해 450억원 규모의 융자지원을 신청했다. 수소를 생산하는 B기업의 경우 납사를 이용한 열분해 대신 무촉매 수전해를 통한 대량 생산시스템 구축을 목적으로 지원을 신청했다.
정부는 접수된 51개 업체에 대해 적합성 검토를 완료한 뒤 기술성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평가결과를 융자사업 심의위원회에 상정한 뒤 우수 선도프로젝트를 선정하고, 프로젝트별 융자지원액을 내달 말까지 확정한다.
[박동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