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성식욕부진증(이하 거식증)은 입원 초기에 인공 영양공급을 병행해 체중증가 속도를 빨리하는 것이 퇴원 후 체중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식증은 체중 증가에 대한 불안으로 영양섭취를 제한하는 정신질환으로 이 병은 심각한 저체중에도 불구하고 그 위험성에 대한 인식 결핍으로 인해 다이어트를 지속해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는 질환이다. 호발연령은 16~17세로 최근 10년간 10대 초반에서 발병이 증가하고 있어 세계보건기구는 거식증을 청소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질환 중 하나로 권고한 바 있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섭식장애클리닉) 김율리 교수팀은 2010~2016년 거식증 환자 129명의 입원 치료를 추적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19세, 평균 이환기간은 3년, 입원 시 BMI(체질량지수)는 14kg/m²로 중증 거식증 상태였다.
연구팀은 경구(입) 섭취가 현저히 부족한 환자들을 비위관(코)이나 정맥(혈관)을 통한 인공영양을 경구섭취와 병행했고, 인공영양은 평균 14일 이내로 시행했다. 인공영양 병행군과 경구 식사 단독유지군을 6개월간 비교 추적했다. 환자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22일로, 퇴원 시 몸무게는 평균 3kg 증가했다. 퇴원 후에도 거식증에 전문화된 의료진이 외래에서 치료를 지속한 결과, 3개월 후 7kg 증가, 6개월 후 9kg까지 증가해 정상 체중범위에 도달했다. 연구팀은 입원 초기 치료가 지체되지 않는 것이 장기 예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김율리 교수는 "거식증 환자에서 인공 영양공급을 병행할 경우 재섭식증후군을 주의해야 하고, 윤리적 측면에서 비위관영양공급을 우선으로 하되, 불가능할 경우에 정맥영양공급을 하는 것이 좋다. 입원 치료를 통해 신체적 위험이 감소하고 체중이 어느 정도 증가했다면, 전문치료팀에 의한 외래에서의 다각적 치료로 연계해 목표체중에 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여성 100명 중 1명은 거식증 환자로 추정된다. 건강보험의 거식증 수진자는 2019년 3,746명으로 빙산의 일각일 뿐이며, 대다수의 경우에서 병이 감춰져 만성화되고 있다. 국가에서도 청소년과 젊은 여성들의 건강을 잠식하고 있는 이 병의 위중함을 인식하고 이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지원이 국가 미래를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 국제학술지 임상의학저널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