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활동 및 지속적인 운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자살충동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와 김현욱 전공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해 716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운동량이 낮은 그룹의 자살 충동 비율은 9.1%이지만, 적당히 운동하는 그룹의 자살 충동 비율은 6.6%로 약 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또한 성별로 보면 남성보다 여성이 운동을 꾸준히 할 경우 자살충동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과한 운동을 하는 그룹은 자살충동 비율이 6.3%로 소폭 줄었는데, 이는 지나친 신체 활동이 오히려 대인관계 결여, 근육이상, 섭식장애 등 안 좋은 결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국제신체활동설문(IPAQ) 기준에 따라 운동량을 낮음, 적당함, 높음 등 3가지 그룹으로 나눠 조사했다. 또한 운동습관, 성별, 소득, 음주여부 등과 자살충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한창수 교수는 "신체활동이 정신질환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몇몇 연구가 있었지만 자살충동에 대해 신체활동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 받아왔다"면서"활발한 신체활동은 자살충동을 낮추는데 분명히 도움이 되지만 지나친 운동은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추후 성별 및 신체활동 범위 여부에 따른 자살충동 관련 권장 사항 제안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자살건수는 1만 2,463건(2017년 기준)이었으며 자살률은 24.3명으로 OECD 국가 중 2위를 기록했다. 특히 취업난과 경쟁으로 인해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20대는 전체 사망자중 절반에 달하는 44.8%가 자살이었고, 육체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65세이상 노인 자살률은 58.6명이었는데, 이는 OECD 평균의 3배에 달한다. 이처럼 국내에서 자살은 정신질환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중 하나이다.
한창수 교수는 "신체활동 이외에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며 우울증과 극심한 스트레스 등을 통해 한번이라도 자살충동에 대한 생각을 가져봤다면 온라인 자가진단을 통해 스스로 주기적인 점검을 시행하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