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겨울철 과일 딸기. 7년 전만 해도 대부분이 일본품종이었습니다.
하지만 국산품종의 개발로 딸기의 진정한 신토불이 시대를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진아연 리포터입니다.
【 기자 】
추운 겨울을 견디고 있는 딸기들.
겨울철 딸기가 맛있는 이유는 당이 높고 신맛이 적기 때문입니다.
2005년도 까지만 하더라도 한국 시장은 일본 딸기품종이 9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농가의 로열티 부담을 덜기 위해 2007년 '딸기사업단'을 출범하고 '설향', '매향' 등 15개 품종을 개발했습니다.
▶ 인터뷰 : 김대영 /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박사
- "2005년도 까지만 하더라도 국산품종의 보급률은 9% 내외로 상당히 낮았지만, 현재는 75% 내외로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설향'과 같이 국산품종의 개발과 이에 적합한 재배기술 개발이 있었고…."
'설향'은 크기가 크고 당도가 높으며, 많은 양의 수확이 가능합니다.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도 높아 농가에서도 선호합니다.
▶ 인터뷰 : 박우천 / 뜰애담 딸기 작목반 대표
- "농가에서도 큰 어려움을 겪지 않고 당도라든지 수량 면에서도 농가의 큰 소득이 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딸기 국산품종이 향후 5년 내에 일본 품종을 완전 대체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진아연 / 리포터
- "국산품종의 개발로 맛과 질이 높은 딸기가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농가는 활력을 얻었습니다. 다른 농업분야에도 이러한 연구를 통한 국산 품종 개발이 필요해 보입니다. MBN뉴스 진아연 입니다"
겨울철 과일 딸기. 7년 전만 해도 대부분이 일본품종이었습니다.
하지만 국산품종의 개발로 딸기의 진정한 신토불이 시대를 앞두고 있다고 합니다.
진아연 리포터입니다.
【 기자 】
추운 겨울을 견디고 있는 딸기들.
겨울철 딸기가 맛있는 이유는 당이 높고 신맛이 적기 때문입니다.
2005년도 까지만 하더라도 한국 시장은 일본 딸기품종이 9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농가의 로열티 부담을 덜기 위해 2007년 '딸기사업단'을 출범하고 '설향', '매향' 등 15개 품종을 개발했습니다.
▶ 인터뷰 : 김대영 /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 박사
- "2005년도 까지만 하더라도 국산품종의 보급률은 9% 내외로 상당히 낮았지만, 현재는 75% 내외로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설향'과 같이 국산품종의 개발과 이에 적합한 재배기술 개발이 있었고…."
'설향'은 크기가 크고 당도가 높으며, 많은 양의 수확이 가능합니다.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도 높아 농가에서도 선호합니다.
▶ 인터뷰 : 박우천 / 뜰애담 딸기 작목반 대표
- "농가에서도 큰 어려움을 겪지 않고 당도라든지 수량 면에서도 농가의 큰 소득이 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은 딸기 국산품종이 향후 5년 내에 일본 품종을 완전 대체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진아연 / 리포터
- "국산품종의 개발로 맛과 질이 높은 딸기가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농가는 활력을 얻었습니다. 다른 농업분야에도 이러한 연구를 통한 국산 품종 개발이 필요해 보입니다. MBN뉴스 진아연 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