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연립·다세대 매매 거래가격이 2016년 정점을 찍은 후 하향세가 이어지고 있다. 강력한 정부 규제와 공급물량 증가로 아파트 매매·전셋값이 안정되면서 연립·다세대보다 아파트를 찾는 수요자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3일 직방이 국토부의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전국 연립·다세대 거래 중위가격은 1억4000만원으로, 지난 2016년(1억6500만원) 최고점을 찍은 이후 줄곧 하락했다. 다만 수도권과 지방의 연립·다세대 거래 중위가격은 상이한 가격 움직임을 보였다. 수도권은 올해 들어 가격이 소폭 상승(1억5800만원)한 반면, 지방은 9800만원으로 1억원 밑으로 내려갔다.
지역별 연립·다세대 신축과 구축 주택의 가격 차이도 커지는 추세다. 수도권은 2016년 49.2%였던 차이가 2018년 47.7%로 소폭 줄었지만, 올해 들어서 확대되는 모습이다. 같은 기간 지방은 97.5%(2016년)에서 102.4%(2018년), 112.2%(2019년)으로 가격 격차가 눈에 띄게 확대됐다.
최성헌 직방 연구원은 "수도권, 지방 모두 연립·다세대 신축·구축 간 가격차가 커지는 모습"이라면서도 "수도권은 구축 주택의 하락이 원인인데 비해 지방은 신축 주택 거래가격의 상승이 확대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연립다세대 매매 거래 중간가격 [자료: 국토부·직방]
연립·다세대 주택 가격은 2015년 전후 전국적인 아파트 전세 가격 급등 영향으로 연일 상승했다. 전세공급 부족의 영향으로 건설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연립·다세대의 공급이 늘고 올해 들어 정부 대책과 공급량 증가로 아파트 매매시장이 안정세로 돌아서면서 연립·다세대 거래가격은 하락 일로를 걷고 있다.연립·다세대의 매매 가격 하락세는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다.
최 연구원은 "주택 전세시장이 안정된 흐름이 장기간 유지되고 있고, 공급 증가의 영향도 나타나고 있어 연립·다세대 매매가격은 당분간 하락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서울 도심의 공급 확대를 위한 재개발 활성화 등의 규제완화로 정부 정책이 전환될 경우 개발 차익 목적의 투자 수요 유입에 따른 가격 불안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