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일 총파업을 예고한 KB국민은행 노동조합과 사측이 주말 내내 릴레이 협의를 이어갔지만 결국 합의에 실패했다. 노조는 협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7일 전야제에 이어 8일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6일 국민은행 노조는 "7일 저녁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총파업 전야제를 열고 8일 오전 9시 총파업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이후에도 설연휴 직전인 이달 31일과 다음달 1일 이틀에 걸쳐 2차 총파업이 예정돼 있다. 또 3월 말까지 추가 파업과 함께 집단휴가 등 준법투쟁도 함께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은행 임직원은 1만8000여 명이고, 이 가운데 노조원은 1만4000여 명 수준이다. 지난달 27일 조합원 투표에서 1만1511명(투표 참여자 중 96.01%)이 쟁의행위 찬성에 표를 던졌다.
노사 양측은 주말 내내 협의를 했지만 이견을 좁히지는 못했다. 성과급 지급과 관련해 사측은 자기자본이익률(ROE)에 연동한 성과급 지급 기준을 우선 정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에서 '기본급 200%+α'를 지급하는 쪽으로 바꿨다. 현재 신입 행원만 대상인 '페이밴드(직급별 호봉 상한제)'를 전 직원으로 확대하려고 했던 사안도 일단 현재 제도대로 유지하는 쪽으로 물러섰다. 임금피크제에 돌입하는 직원에 대해 희망퇴직 조건을 기존보다 더 개선하는 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노조는 기본급 300% 지급과 페이밴드 폐지 등 주장을 굽히지 않아 양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이다. 이날 노조는 은행 측이 "총파업에 참여하는 직원의 근태를 '파업 참여'로 등록하도록 한 것은 인사상 불이익을 암시하는 인권침해 행위"라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반면 은행 측은 "적법하고 정당한 근태파악 노력"이라고 반박했다.
은행 측은 파업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앞서 지난 4일 부행장, 본부장 등 임원진 54명은 "파업으로 영업에 차질이 생기면 사퇴하겠다"며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 이어 주말에도 출근해 비상회의를 열었다.
노사는 일단 파업 직전까지 협의는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실제 파업이 발생하면 고객 불편을 피할 수 없는 만큼 은행 측은 지역별로 거점점포를 운영하는 등 비상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일단 은행은 전 점포의 정상영업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파업 참여자가 많아지면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역별 대형 점포에서 일괄적으로 업무를 모아 처리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1057곳인 전체 점포 가운데 절반 수준인 약 500곳이 거점점포로 운영될 전망이다. 이외에도 ATM과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고객을 유도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IT센터 인력 가운데는 KB데이터시스템 등 외주업체 비중이 높은 만큼 전산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국민은행이 가장 걱정하는 사항은 고객 이탈이다. 리딩뱅크 자리를 되찾은 지 1년여밖에 되지 않은 시점에서 파업으로 고객이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다.
[김태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일 국민은행 노조는 "7일 저녁 잠실학생체육관에서 총파업 전야제를 열고 8일 오전 9시 총파업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이후에도 설연휴 직전인 이달 31일과 다음달 1일 이틀에 걸쳐 2차 총파업이 예정돼 있다. 또 3월 말까지 추가 파업과 함께 집단휴가 등 준법투쟁도 함께한다는 계획이다. 국민은행 임직원은 1만8000여 명이고, 이 가운데 노조원은 1만4000여 명 수준이다. 지난달 27일 조합원 투표에서 1만1511명(투표 참여자 중 96.01%)이 쟁의행위 찬성에 표를 던졌다.
노사 양측은 주말 내내 협의를 했지만 이견을 좁히지는 못했다. 성과급 지급과 관련해 사측은 자기자본이익률(ROE)에 연동한 성과급 지급 기준을 우선 정해야 한다는 기존 주장에서 '기본급 200%+α'를 지급하는 쪽으로 바꿨다. 현재 신입 행원만 대상인 '페이밴드(직급별 호봉 상한제)'를 전 직원으로 확대하려고 했던 사안도 일단 현재 제도대로 유지하는 쪽으로 물러섰다. 임금피크제에 돌입하는 직원에 대해 희망퇴직 조건을 기존보다 더 개선하는 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대해 노조는 기본급 300% 지급과 페이밴드 폐지 등 주장을 굽히지 않아 양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는 상황이다. 이날 노조는 은행 측이 "총파업에 참여하는 직원의 근태를 '파업 참여'로 등록하도록 한 것은 인사상 불이익을 암시하는 인권침해 행위"라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반면 은행 측은 "적법하고 정당한 근태파악 노력"이라고 반박했다.
은행 측은 파업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앞서 지난 4일 부행장, 본부장 등 임원진 54명은 "파업으로 영업에 차질이 생기면 사퇴하겠다"며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 이어 주말에도 출근해 비상회의를 열었다.
노사는 일단 파업 직전까지 협의는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실제 파업이 발생하면 고객 불편을 피할 수 없는 만큼 은행 측은 지역별로 거점점포를 운영하는 등 비상대책을 준비하고 있다. 일단 은행은 전 점포의 정상영업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파업 참여자가 많아지면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역별 대형 점포에서 일괄적으로 업무를 모아 처리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1057곳인 전체 점포 가운데 절반 수준인 약 500곳이 거점점포로 운영될 전망이다. 이외에도 ATM과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고객을 유도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IT센터 인력 가운데는 KB데이터시스템 등 외주업체 비중이 높은 만큼 전산에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국민은행이 가장 걱정하는 사항은 고객 이탈이다. 리딩뱅크 자리를 되찾은 지 1년여밖에 되지 않은 시점에서 파업으로 고객이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다.
[김태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