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 어디로 ◆
대우조선해양은 2조9000억원 한도성 여신 지원을 받게 될 경우 이르면 올해 1분기부터 흑자 체제로 돌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조선 시황이 회복되는 대로 이르면 내년 중에 대우조선해양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국내 조선업계를 빅2 체제로 재편한다는 방침이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14일 "수주 잔량 100여 척 중 50척이 LNG-FSRU(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로 영업이익률이 일반 선박보다 높다"며 "손실 요인도 지난해 이미 다 반영해 상반기 흑자 전환까지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회계법인의 보수적 평가 등으로 1분기 흑자를 내지 못해도 하반기 흑자 전환은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올해 흑자 전환으로 회사가 어느 정도 정상화 궤도에 오르면 내년부터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주인 찾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을 상대로 대우조선해양을 통매각하는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볼 때 '빅3'보다 '빅2' 체제가 바람직하다는 게 대체적인 여론"이라며 "다만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여력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3일 회사 분할 후 독자 생존 방안을 찾는 데 정신이 없는 상황이다. 삼성중공업은 대규모 적자와 수주 절벽으로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두 곳 모두 대우조선해양이 매물로 나올 경우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대우조선해양 주인 찾기가 지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이 때문에 대우조선해양이 다른 조선사를 인수하고 채권단 중심의 빅2 체제 개편을 단행한 이후 새 주인을 찾는 방안이 더욱 현실적이라고 보고 있다.
문제는 산업은행이나 새 정부의 의지다. 경영 정상화에 성공할 경우 산업은행은 그간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당초 취득 가격과 신규 투입 자금을 감안한 장부가를 밑도는 가격에 대우조선해양을 되파는 데 미온적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대우조선해양 사장과 자회사 대표, 이사회 구성원 등 묵직한 인사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시장에 매각하는 데 정치권이 반대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 중 일부 대형 조선소가 상대적으로 선전하지 못할 경우 이를 이유로 대우조선해양의 국책은행 슬하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논리가 득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고민은 행복한 것이다. 내년 조선 시황이 회복되지 않거나 대우조선해양의 자구노력이 미흡할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정리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내년이다. 실사 결과 최대 5조1000억원의 유동성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 내년 9월을 전후해 내년 수주 목표(54억달러)의 절반 이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또다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게 되고 이 경우 대우조선해양의 신규 자금 지원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정부와 대우조선해양의 판단이다. 정성립 사장은 지난 4일 인터뷰에서 "이번에도 정상화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땐 회사 문을 닫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삼정KPMG는 지난달 2일 대우조선해양 실사보고서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수주 목표로 20억달러, 내년 기준 54억달러, 2019~2021년 기준 72~77억달러를 잡았다. 조선산업 관계자는 "올해 수주 목표는 보수적으로 잡았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지난해 수주량이 15억달러 안팎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내년 이후 수주 목표는 달성 여부를 낙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48척, 내년 36척, 2019년 이후 30척 등 기존 수주 선박의 인도를 순차적으로 마무리 짓겠다는 방침이다.
[문지웅 기자 / 정석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우조선해양은 2조9000억원 한도성 여신 지원을 받게 될 경우 이르면 올해 1분기부터 흑자 체제로 돌입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금융당국은 조선 시황이 회복되는 대로 이르면 내년 중에 대우조선해양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국내 조선업계를 빅2 체제로 재편한다는 방침이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14일 "수주 잔량 100여 척 중 50척이 LNG-FSRU(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로 영업이익률이 일반 선박보다 높다"며 "손실 요인도 지난해 이미 다 반영해 상반기 흑자 전환까지 기대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회계법인의 보수적 평가 등으로 1분기 흑자를 내지 못해도 하반기 흑자 전환은 무리가 없다는 입장이다.
올해 흑자 전환으로 회사가 어느 정도 정상화 궤도에 오르면 내년부터 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주인 찾기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을 상대로 대우조선해양을 통매각하는 방안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 상황을 볼 때 '빅3'보다 '빅2' 체제가 바람직하다는 게 대체적인 여론"이라며 "다만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할 여력이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3일 회사 분할 후 독자 생존 방안을 찾는 데 정신이 없는 상황이다. 삼성중공업은 대규모 적자와 수주 절벽으로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다. 두 곳 모두 대우조선해양이 매물로 나올 경우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대우조선해양 주인 찾기가 지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이 때문에 대우조선해양이 다른 조선사를 인수하고 채권단 중심의 빅2 체제 개편을 단행한 이후 새 주인을 찾는 방안이 더욱 현실적이라고 보고 있다.
문제는 산업은행이나 새 정부의 의지다. 경영 정상화에 성공할 경우 산업은행은 그간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당초 취득 가격과 신규 투입 자금을 감안한 장부가를 밑도는 가격에 대우조선해양을 되파는 데 미온적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대우조선해양 사장과 자회사 대표, 이사회 구성원 등 묵직한 인사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시장에 매각하는 데 정치권이 반대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현대중공업이나 삼성중공업 중 일부 대형 조선소가 상대적으로 선전하지 못할 경우 이를 이유로 대우조선해양의 국책은행 슬하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논리가 득세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고민은 행복한 것이다. 내년 조선 시황이 회복되지 않거나 대우조선해양의 자구노력이 미흡할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정리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내년이다. 실사 결과 최대 5조1000억원의 유동성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된 내년 9월을 전후해 내년 수주 목표(54억달러)의 절반 이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또다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게 되고 이 경우 대우조선해양의 신규 자금 지원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정부와 대우조선해양의 판단이다. 정성립 사장은 지난 4일 인터뷰에서 "이번에도 정상화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땐 회사 문을 닫아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삼정KPMG는 지난달 2일 대우조선해양 실사보고서에서 대우조선해양의 올해 수주 목표로 20억달러, 내년 기준 54억달러, 2019~2021년 기준 72~77억달러를 잡았다. 조선산업 관계자는 "올해 수주 목표는 보수적으로 잡았다고 평가할 수 있지만 지난해 수주량이 15억달러 안팎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내년 이후 수주 목표는 달성 여부를 낙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48척, 내년 36척, 2019년 이후 30척 등 기존 수주 선박의 인도를 순차적으로 마무리 짓겠다는 방침이다.
[문지웅 기자 / 정석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