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5월 6일(06:03)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공제회 '운영위원회'가 자산운용 유연성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투자 전문성이 부족한 소수 인력들이 공제회 주요 투자 안건을 평가하고 통과시키는 의결 권한을 가지고 있어 투자효율성을 위해 운영위원회에 대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운영위원회는 공제회 이사장과 약 30~40명으로 구성된 대의원 가운데 일부를 선출해 6~7명으로 구성한 공제회의 의결기구다. 공제회 규정의 제정·개정·폐지, 사업 운영에 관한 세부계획 등을 의결할 수 있어 수십만 회원들의 자산을 관리·감독하는 역할을 한다. 4일 기준 교직원·군인·지방행정·경찰 등 국내 주요 공제회들은 모두 운영위원회를 의결기구로 두고 있다.
문제는 운영위원회에 권한이 지나칠 정도로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특히 명시된 권한 이외에도 운영위원회가 공제회 관련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안 대해 의결할 수 있다'는 모호한 조건을 달고 있어 사실상 안건 대부분이 운영위원회의 동의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투자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투자 전문성이 부족한 운영위원회가 이를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나온다. 현재 대부분의 공제회 운영위원회는 형평성(지역적 균형)에만 초점을 두고 위원을 선출하다해 자산운용에 대해선 경험이 대부분 전무할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지방행정공제회 운영위원회 경우 이인화 이사장을 포함해 서울 교통행정과, 울산 우정동장, 충청 관광산업과, 전북 자치안전국 세정과, 경북 치수방제과 소속 공무원들로 구성돼 있다.
이처럼 전문성이 부족한 위원들이 크고 작은 투자 건들을 일일히 평가하고 진행 여부를 결정하다 보니 자산운용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영입된 외부 인사들 사이에선 불만이 나올 수 밖에 없다.
한 공제회 관계자는 "투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전산시스템이 너무 오래돼 개선하자는 안건을 제시했는데 운영위원회에서 '그렇게 하면 수익률이 좀 더 높아지냐'고 반문했다"며 "CEO 보다 운영위원회를 설득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공제회 대체투자팀 관계자는 "최근 몇년간 주요 공제회들의 투자 실적이 부진했던 탓에 운영위원회의 평가 잣대가 더욱 엄격해졌다"며 "장·단기 수익률 모두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어야 그들의 허락을 맡을 수 있는 지경"이라고 전했다.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