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10쌍 중 8쌍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제로는 10쌍 가운데 6쌍은 셋방살이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6일 국토교통부는 결혼한 지 5년이 넘지 않은 신혼부부 2677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4년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서 '신혼부부 가운데 84.7%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했다. 이는 전국 2만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난해 주거 실태조사 결과(79.1%)보다 높은 것이다.
특히 저소득층(1~4분위)과 중소득층(5~8분위) 신혼부부 중 각각 85.3%와 84.9%가 집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79%인 고소득층(9~10분위)보다 내 집 마련 의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는 85.6%로 없는 부부의 80.4%보다 높았다.
반면 신혼부부 중 절반이 넘는 62.9%는 전·월셋집에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가 비중은 29.4%에 그쳐 일반가구(53.6%)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셋방살이를 하는 신혼부부 가운데 전세가구는 77.5%로 평균 보증금은 1억1200만원이었다. 내 집이 있는 신혼부부의 평균 주택가격은 1억9800만원으로,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각각 2억3000만원과 1억7100만원씩이었다.
신혼부부들이 내 집을 마련할 때까지 걸릴 것으로 예상하는 기간은 평균 8년9개월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10년으로 이보다 더 길었다.
이들이 주택 위치를 정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요소는 직장과의 거리(47.6%)였다. 주거 환경(26.6%)과 부모 집과의 거리(17.7%)가 그 뒤를 이었다. 부모 집과의 거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혼부부 중 43.3%는 처가와의 거리를, 39.3%는 시댁과의 거리를 고려했다.
전세보증금이나 주택 구입 비용을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부부 자금과 금융사 대출·융자를 함께 이용한 가구 비율이 35.5%로 가장 높았다. 부부 자금만으로 조달한 가구는 21.8%, 부부 자금에 부모나 친척에게서 받은 금액을 더한 가구는 13.8%였다. 한편 신혼부부들이 정부의 지원 정책 가운데 지금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가장 많이 꼽은 것은 탁아시설 확대 등을 포함한 육아지원 정책(53.4%)이었다. 주택 마련 대출 지원 강화는 그다음 순이다.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일 국토교통부는 결혼한 지 5년이 넘지 않은 신혼부부 2677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4년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서 '신혼부부 가운데 84.7%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했다. 이는 전국 2만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난해 주거 실태조사 결과(79.1%)보다 높은 것이다.
특히 저소득층(1~4분위)과 중소득층(5~8분위) 신혼부부 중 각각 85.3%와 84.9%가 집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79%인 고소득층(9~10분위)보다 내 집 마련 의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는 85.6%로 없는 부부의 80.4%보다 높았다.
반면 신혼부부 중 절반이 넘는 62.9%는 전·월셋집에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가 비중은 29.4%에 그쳐 일반가구(53.6%)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셋방살이를 하는 신혼부부 가운데 전세가구는 77.5%로 평균 보증금은 1억1200만원이었다. 내 집이 있는 신혼부부의 평균 주택가격은 1억9800만원으로,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각각 2억3000만원과 1억7100만원씩이었다.
신혼부부들이 내 집을 마련할 때까지 걸릴 것으로 예상하는 기간은 평균 8년9개월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10년으로 이보다 더 길었다.
이들이 주택 위치를 정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요소는 직장과의 거리(47.6%)였다. 주거 환경(26.6%)과 부모 집과의 거리(17.7%)가 그 뒤를 이었다. 부모 집과의 거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혼부부 중 43.3%는 처가와의 거리를, 39.3%는 시댁과의 거리를 고려했다.
전세보증금이나 주택 구입 비용을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부부 자금과 금융사 대출·융자를 함께 이용한 가구 비율이 35.5%로 가장 높았다. 부부 자금만으로 조달한 가구는 21.8%, 부부 자금에 부모나 친척에게서 받은 금액을 더한 가구는 13.8%였다. 한편 신혼부부들이 정부의 지원 정책 가운데 지금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가장 많이 꼽은 것은 탁아시설 확대 등을 포함한 육아지원 정책(53.4%)이었다. 주택 마련 대출 지원 강화는 그다음 순이다.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