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문가들은 엔화 대비 원화값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석유화학과 철강업종을 중심으로 수출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서정훈 외환은행 연구위원은 "지난달에 이어 28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강달러를 염려하는 비둘기파적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그렇게 되면 2분기까지는 달러 약세 흐름이 이어질 수 있고, 100엔당 원화값이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28일 말했다. 이진우 NH농협선물 리서치센터장도 "기술적으로 85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LG경제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외국 투자은행(IB) 환율 전망 컨센서스를 이용해 원화 실효환율을 추정한 결과 원화값이 지난해 대비 약 4.5% 오를 것"이라며 올해 원화값이 하반기 평균 100엔당 890원 이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에도 달러 대비로는 원화가 약 4% 약세를 나타내겠지만 엔화 유로화 등 다른 통화가 원화보다 더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최문박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달러를 제외한 통화는 원화와 직접 거래되지 않아 일부 통화에 대해서만 원화 절상 압력을 완화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향후 금융시장 안정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전반적인 원화 약세를 유도하기도 쉽지 않다"며 "이런 상황일수록 기업이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100엔당 원화값 강세 여파로 일본 제품 대비 국산 제품 가격경쟁력이 더 약해질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5년 연평균 100엔당 원화값이 900원일 때 국내 총수출액이 약 8.8%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석유화학 수출은 2014년 대비 13.8% 감소하고, 철강 수출은 11.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두 품목 모두 세계 시장에서 공급 과잉 문제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와 품질경쟁력 격차가 크지 않다. 환율 변동과 같은 외부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자동차 수출과 기계, IT도 각각 7.6%, 7.9%, 6.9% 감소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엔저 여파로 한국 기업이 상품을 수출하고 받는 대금을 엔화로 받는 비중도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결제통화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 한국 수출 결제대금 중 엔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2.7%로 전 분기보다 0.3%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100만달러어치를 수출했을 때 2만7000달러에 상당하는 금액을 엔화로 받았다는 뜻이며,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92년 이후 가장 낮은 비중이다.
문제는 정부나 한국은행 등 외환당국이 나서서 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 등 정책적 대응을 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최근 원·엔 환율을 중심으로 변동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유섭 기자 / 박윤수 기자 /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정훈 외환은행 연구위원은 "지난달에 이어 28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강달러를 염려하는 비둘기파적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며 "그렇게 되면 2분기까지는 달러 약세 흐름이 이어질 수 있고, 100엔당 원화값이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28일 말했다. 이진우 NH농협선물 리서치센터장도 "기술적으로 850원대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LG경제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외국 투자은행(IB) 환율 전망 컨센서스를 이용해 원화 실효환율을 추정한 결과 원화값이 지난해 대비 약 4.5% 오를 것"이라며 올해 원화값이 하반기 평균 100엔당 890원 이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에도 달러 대비로는 원화가 약 4% 약세를 나타내겠지만 엔화 유로화 등 다른 통화가 원화보다 더 크게 하락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최문박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달러를 제외한 통화는 원화와 직접 거래되지 않아 일부 통화에 대해서만 원화 절상 압력을 완화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향후 금융시장 안정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전반적인 원화 약세를 유도하기도 쉽지 않다"며 "이런 상황일수록 기업이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100엔당 원화값 강세 여파로 일본 제품 대비 국산 제품 가격경쟁력이 더 약해질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015년 연평균 100엔당 원화값이 900원일 때 국내 총수출액이 약 8.8%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석유화학 수출은 2014년 대비 13.8% 감소하고, 철강 수출은 11.4%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두 품목 모두 세계 시장에서 공급 과잉 문제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와 품질경쟁력 격차가 크지 않다. 환율 변동과 같은 외부 충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자동차 수출과 기계, IT도 각각 7.6%, 7.9%, 6.9% 감소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엔저 여파로 한국 기업이 상품을 수출하고 받는 대금을 엔화로 받는 비중도 역대 최저 수준이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결제통화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 한국 수출 결제대금 중 엔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2.7%로 전 분기보다 0.3%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100만달러어치를 수출했을 때 2만7000달러에 상당하는 금액을 엔화로 받았다는 뜻이며, 관련 통계를 집계한 1992년 이후 가장 낮은 비중이다.
문제는 정부나 한국은행 등 외환당국이 나서서 스무딩오퍼레이션(미세조정) 등 정책적 대응을 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외환당국 관계자는 "최근 원·엔 환율을 중심으로 변동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유섭 기자 / 박윤수 기자 /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