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 2000년 이후 최대 분양 물량이 나올 예정이다. 위례, 판교 등에 청약해 1억원 이상의 차익을 거뒀다는 분양 성공담이 회자되고, 주택업계가 목 좋은 곳에 알짜 물량을 대거 쏟아낸다는 소식에 장롱 속 청약통장을 수요자가 늘었다. 그런데 막상 어떻게 사용해야 청약통장을 잘 썼다고 소문낼 수 있을까.
수년간의 수도권 분양 침체로 하우스푸어를 우려하며 주택 분양을 꺼리는 수요자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꺾일 줄 모르고 치솟는 전셋값에 대한 부담감이 높은 상황에서 합리적인 분양가에 알짜 물량들이 쏟아지자 수요자들의 시선은 자연스레 신규분양에 쏠리고 있다.
특히 분양 아파트의 경우 한번에 목돈이 들어가는 기존 아파트 매입과 달리 중도금 대출 등을 활용하면 입주 때까지 계약금 외에 자금이 거의 들지 않아 자금여력이 없는 서민이 내집 마련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통한다.
전문가들은 우선 아파트 청약을 받으려는 목적이 시세차익인지 실제 거주할 보금자리 마련인지를 정하는 것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이라고 조언한다.
기대차익을 키우려면 자금이 많이 들고 청약자격이 낮으면 당첨권에 들기 어렵다. 취·등록세와 대출 이자 등의 비용 지출을 고려하면 적어도 5000만원 이상 올라야 차익을 거뒀다고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주택 시장이 본격적인 가격 상승기에 진입했다고 보기 어려워 자칫 부담만 떠안을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자금여력과 청약자격에 맞춘 지역을 고르는 것이다. 서울의 경우 평균 3.3㎡당 최소 1500만원 내외의 자금이 소요된다. 용산, 강남 등의 경우 3.3㎡당 3000만원 수준이다. 수도권의 경우 김포시, 동탄2신도시 등은 서울 전셋값 수준인 3.3㎡당 1000만원 내외면 내집마련이 가능해 수도권 전세 수요자가 노려볼만하다.
지역 범위를 좁혔으면 해당 지역의 개발재료와 국지적인 시장 상황도 살펴야 한다. 최근 김포시는 김포도시철도 착공으로 미분양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잇따른 기업 이전과 글로벌 대학 개교로 전성기를 맞고 있는 송도신도시는 대형 개발재료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예다. 이 외에도 분양 받을 지역 정보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한편 청약할 아파트의 분양가가 합리적인지도 반드시 따져봐야 한다. 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서비스를 활용하면 분양받으려는 지역 내에서 단지규모가 크고 가장 최근 입주한 단지들이 얼마에 거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약할 아파트의 시공사 재무사정이나 커뮤니티와 마감재 등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20가구 이상의 아파트는 대부분 대한주택보증의 보증서란 안전장치가 있지만 시공사 부도시 입주 지연이나 별도계약금액을 떼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매경닷컴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수년간의 수도권 분양 침체로 하우스푸어를 우려하며 주택 분양을 꺼리는 수요자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꺾일 줄 모르고 치솟는 전셋값에 대한 부담감이 높은 상황에서 합리적인 분양가에 알짜 물량들이 쏟아지자 수요자들의 시선은 자연스레 신규분양에 쏠리고 있다.
특히 분양 아파트의 경우 한번에 목돈이 들어가는 기존 아파트 매입과 달리 중도금 대출 등을 활용하면 입주 때까지 계약금 외에 자금이 거의 들지 않아 자금여력이 없는 서민이 내집 마련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도 통한다.
전문가들은 우선 아파트 청약을 받으려는 목적이 시세차익인지 실제 거주할 보금자리 마련인지를 정하는 것이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이라고 조언한다.
기대차익을 키우려면 자금이 많이 들고 청약자격이 낮으면 당첨권에 들기 어렵다. 취·등록세와 대출 이자 등의 비용 지출을 고려하면 적어도 5000만원 이상 올라야 차익을 거뒀다고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주택 시장이 본격적인 가격 상승기에 진입했다고 보기 어려워 자칫 부담만 떠안을 수 있다.
그 다음 단계로 고려해야 할 부분은 자금여력과 청약자격에 맞춘 지역을 고르는 것이다. 서울의 경우 평균 3.3㎡당 최소 1500만원 내외의 자금이 소요된다. 용산, 강남 등의 경우 3.3㎡당 3000만원 수준이다. 수도권의 경우 김포시, 동탄2신도시 등은 서울 전셋값 수준인 3.3㎡당 1000만원 내외면 내집마련이 가능해 수도권 전세 수요자가 노려볼만하다.
지역 범위를 좁혔으면 해당 지역의 개발재료와 국지적인 시장 상황도 살펴야 한다. 최근 김포시는 김포도시철도 착공으로 미분양이 급격하게 감소했다. 잇따른 기업 이전과 글로벌 대학 개교로 전성기를 맞고 있는 송도신도시는 대형 개발재료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예다. 이 외에도 분양 받을 지역 정보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한편 청약할 아파트의 분양가가 합리적인지도 반드시 따져봐야 한다. 국토부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 서비스를 활용하면 분양받으려는 지역 내에서 단지규모가 크고 가장 최근 입주한 단지들이 얼마에 거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약할 아파트의 시공사 재무사정이나 커뮤니티와 마감재 등도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20가구 이상의 아파트는 대부분 대한주택보증의 보증서란 안전장치가 있지만 시공사 부도시 입주 지연이나 별도계약금액을 떼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매경닷컴 이미연 기자]
• [李기자의 리얼티 톡] 아파트 주차장도 트랜드 있다? |
• [李기자의 리얼티 톡] 올해 분양앞둔 서울 재개발·재건축 브랜드 보니… |
• [李기자의 리얼티 톡] 미세먼지 걱정잡는 ‘친환경 아파트’ 나오나 |
• [李기자의 리얼티 톡] 오피스텔 임대 수익률 하락, 아파트 월세 탓? |
• [李기자의 리얼티 톡] 새 아파트 특명 “층간소음을 잡아라”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