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04월 27일(11:50)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대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한 동국제강이 사전 공매도 논란에 휘말렸다. 유상증자 발표 전부터 공매도 물량이 대거 출회하면서 특정 기관이 미리 정보를 입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잇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1~22일 동국제강 공매도 수량은 각각 7만8210주와 7만9560주로 집계됐다. 평균 일 거래량의 32~37% 수준으로, 21일의 경우 대차수량(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린 뒤 갚지 않은)이 일 거래량의 4배가 넘는 93만여주에 달했다. 이 기간은 23일 동국제강이 2165억원 규모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 공시를 내기 직전 거래일이다.
공매도는 투자자가 해당 종목의 주식이나 채권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 팔아 시세차익을 남기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특정 기관이 동국제강 주식을 1만1000원선에서 공매도했는데 3일 후 주가가 1만원으로 떨어졌다면 투자자는 주당 1000원의 시세차익을 얻는 셈이다.
동국제강 주가는 공시 다음날인 24일 전일 대비 1700원(-14.72%) 내린 9850원으로 마감됐다. 특정 기관들이 미리 유상증자 정보를 입수하고 대거 공매도했을 것이란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는 이유다.
실권주가 많이 발생할 수록 공매도 세력의 차익은 더 커진다. 동국제강의 23일 종가인 1만150원에서 신주발행가인 8020원을 뺀 차익은 3530원이다. 발행예정신주 2700만주 중 3분의 1 가량 실권주가 발생할 경우 공매도 세력이 이를 인수하고 대차주식 상환을 통해 얻을 차액만 317억원(900만주×3530원)에 달한다.
공시 전 공매도 물량이 쏟아지자 증자 발표에 따른 주가 하락은 고스란히 동국제강 지분을 가진 개인들의 손실로 돌아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소형 증권사 기업금융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된 기업이 유상증자를 발표해 주가가 떨어지면 개인투자자들은 손해를 보지만 인수·주관에 참여한 증권사 등 기관투자가들의 손실 확률은 적다"며 "정보 비대칭에 따른 공매도까지 이뤄질 경우 실권주 인수를 통한 시세차익이 가능하고 인수수수료도 추가로 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동국제강은 2012년과 지난해 각각 2351억원과 118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유상증자가 단순 재무개선에 목적을 두고 있다는 점, 철강업황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악재로 평가하고 있다.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