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벼 재배면적의 11% 줄이기로…시도별 감축 면적 배정
보급품종에 소비자 선호 반영…쌀 소비 위해 전통주 주세 감면 확대
보급품종에 소비자 선호 반영…쌀 소비 위해 전통주 주세 감면 확대
정부가 쌀 과잉 생산과 이에 따른 산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내년 벼 재배면적 8만 헥타르(㏊)를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각 농가를 대상으로 생산량이 많은 벼 품종보다 고품질 품종을 생산하도록 유도하고, 민간 신곡을 쓰는 기업에는 지금 지원 시 우대하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공급 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2025∼2029년)을 오늘(12일)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지난 2005년 이후 열두 차례에 걸쳐 쌀을 사들였으나, 소비가 빠르게 줄면서 쌀 공급 과잉과 산지 쌀값 불안 문제는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쌀 과잉 생산을 막기 위해서는 벼 재배면적 감축이 필요하다고 보고, 내년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시도별로 감축 면적을 배정하고, 농가에서 농지에 다른 작물을 심는 방식으로 벼 재배 면적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농식품부는 벼 재배 면적을 감축한 농가에는 공공비축미 매입 등에서 인센티브(혜택)를 주고, 조정제에 참여하지 않은 농가는 공공비축미 매입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또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작물직불제' 예산을 올해 1천865억원에서 내년 2천440억원으로 확대했습니다. 하계 조사료와 밀은 내년 지급단가를 각각 ㏊당 70만원, 50만원씩 인상합니다.
농식품부는 이런 방식으로 내년 벼 재배면적을 8만㏊ 줄이기로 했습니다. 목표한 감축 면적은 올해 벼 재배면적(69만8천㏊)의 11%에 해당하고, 여의도(290㏊)의 276배와 맞먹습니다.
재배 면적 감축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시도별 현장지원단을 운영하는 한편 위성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농가 간 감축 면적 거래 등의 방식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쌀 판매대/사진= 연합뉴스
농식품부는 생산자가 양을 늘리기보다 고품질 쌀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전문 단지를 내년 시도별로 한 곳씩 시범 운영하고, 2029년 두 곳씩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정부 보급종은 소비자 선호 품종 중심으로 개편합니다. 맛과 향이 뛰어난 최우수 품종 약 15개를 새로 선정하고, 선호 품종 비율을 오는 2029년까지 90%로 확대합니다. 다수확 품종은 오는 2027년부터 공공 비축, 정부 보급종에서 제외합니다.
친환경 벼 재배면적은 2029년 6만8천㏊로 확대하고,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매입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일반 벼를 생산하던 농가가 친환경 벼를 생산하는 경우 전량 매입(최대 15만t)합니다.
고품질 쌀 생산·유통을 위해 양곡표시제를 개편합니다.
단백질 함량 표시를 의무 사항으로 변경하고, 쌀 등급 기준을 강화합니다.
우리쌀로 만든 우리술/사진=연합뉴스
쌀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내년부터 전통주 주세 감면 구간을 확대하고, 지역 특산주 주원료 기준을 완화합니다.
정부 양곡을 쓰던 식품기업이 민간 신곡을 쓰면 정책자금 지원 대상에서 우대합니다.
식품기업·미곡종합처리장(RPC)과 연계한 수출·가공용 생산단지를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가공밥류 정부 양곡 공급은 단계적으로 제한합니다.
이 밖에 쌀 가공식품 수출을 올해 10만t에서 2029년 18만t으로 늘리기 위해 주요 수출국에 홍보관을 신설하고 온라인 기업간거래(B2B) 판매관을 확대합니다.
싱가포르 등 신규 시장을 중심으로 밥쌀용 쌀 수출을 확대하고 식량원조를 올해 11만t에서 내년 16만t으로 확대합니다.
이 밖에 농식품부는 고품질 쌀 유통 RPC를 지정하고 생산부터 가공까지 이력을 관리하는 생산이력제를 시범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정부 지원 RPC의 단일 품종·고품질 쌀 매입을 유도해 혼합미 비율을 지난해 42% 수준에서 오는 2029년 10%로 낮춥니다.
RPC의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회계 정보 공시, 경영계획서 제출 의무화 등을 추진하고 저가 판매 등 시장교란 행위를 제재합니다.
정부는 쌀 적정생산을 위해 비료 저감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지역별로는 전략작물 이모작 모델 개발에 나섭니다.
또 외국인 수요가 높은 장립종 쌀에 대한 품종 개발 연구개발(R&D)을 추진하고 혈당 저감 기능성 품종 등을 활용한 헬스케어 식품 개발을 지원합니다.
이번 대책은 남는 쌀을 정부가 사들이도록 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의 대안입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시장의 수요를 생산에 반영해야 한다는 양정 정책의 추진 방향은 변함없고, 그 흐름이 국가를 위해 바람직하다"며 법 개정 반대 입장에 변함이 없음을 시사했습니다.
[김유민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mikoto230622@gmail.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