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사망자 10명 중 9명은 극단적 선택을 하기 전 주변에 관련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심리부검센터는 27일 최근 5년(2015∼2019년)간 자살사망자 566명의 유족 6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심리 부검 면담 결과를 발표했다.
심리 부검 면담 조사는 유족의 진술이나 관련 기록을 통해 자살 사망자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까지 어떤 심리나 행동의 변화를 보였는지를 살펴보고 자살 원인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대상자는 정신건강복지센터나 경찰 등을 통해 심리 부검 의뢰를 접수했거나 유족이 직접 면담 신청을 한 경우로 선정했다.
조사 결과 자살자 566명 중 529명(93.5%)은 주변에 사망 전 자살에 대해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언어·행동·정서적 경고신호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죄책감, 무기력감, 과민함 등의 정서반응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됐다.
또 불면이나 과다수면 등의 수면 상태가 변화하는 양상도 보였으며 자살이나 살인, 죽음에 대한 말을 자주 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고 신호 양상은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35∼49세는 주변에 용서를 구하며 인간관계 개선에 나서거나 반대로 대인기피 양상을 보이며 사람을 아예 만나지 않았다.
50∼64세의 경우 식사량이 갑자기 줄거나 많아지면서 급격한 체중 변화가 나타났다.
65세 이상은 평소에 소중하게 여기던 물건을 주변 사람들에게 주는 등의 행동을 보였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경고 신호는 사망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특히 자살 사망자 10중 9명은 사망 3개월 전에 주변을 정리하는 등의 행동으로 신호를 보냈고 사망 일주일 전에 경고 신호를 보낸 경우도 50%에 육박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고 신호를 주변에서 인지한 경우는 22.5%로 낮았다.
또 자살 사망자들의 유족의 경우 자살을 시도했거나 실제로 목숨을 끊은 경우가 45.8%를 기록했다.
그리고 정신과 치료를 받은 이력이 있는 사망자의 가족 비율은 68.2%로 조사됐다.
자세한 심리 부검 면담 결과는 중앙심리 부검센터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염민섭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까지 이르는 길목을 차단할 수 있도록 촘촘한 자살 예방대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갑작스러운 사별로 어려움을 겪는 자살 유족을 돕기 위한 지원 사업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하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