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조숙증 환자가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환자 10명 가운데 9명은 여아인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3∼2017년 성조숙증 환자를 분석한 결과, 2013년 6만7천21명이던 환자가 2019년 9만5천401명으로 42.3% 증가했다고 오늘(20일) 밝혔습니다.
성조숙증은 또래보다 2차 성징이 일찍 나타나는 질환인데 여아는 8살 이전에, 남아는 9살 이전에 2차 성징이 시작되면 성조숙증으로 진단합니다.
2017년 진료 인원을 성별로 보면 전체 9만5천401명 가운데 여아가 8만5천806명으로 89.9%를 차지했습니다.
다만 진료 인원 증가 폭은 남아가 더 컸습니다. 남아 환자는 2013년 5천935명에서 2017년 9천595명으로 연평균 12.8% 증가했고 여아 환자는 같은 기간 연평균 8.9% 증가했습니다.
정인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성조숙증 환자는 연평균 9.2%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였다"며 "산업화에 따른 환경오염, 식생활 변화에 따른 비만 그리고 빠른 사춘기의 가족력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여아 환자가 남아 환자보다 많은 배경에 대해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국내외 연구에서도 여아의 유병률이 남아보다 10∼30배 높게 나타난다"며 "여성호르몬과 비슷한 환경호르몬이 많이 발견되고, 비만의 경우 지방 세포에서 여성호르몬을 분비한다는 점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조숙증은 치료제(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 작용제)를 4주 또는 12주 간격으로 투여해 치료합니다.
정 교수는 "성조숙증을 방치하면 성인이 됐을 때 최종 키가 작아질 뿐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불안의 문제를 겪을 수 있다"며 "특히 여아의 경우 초경이 빠르게 나타나 유방암 위험이 증가하고 불임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성조숙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회용품 사용과 인스턴트 식품을 줄이는 등 환경호르몬 노출을 최소화하고 비만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