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조성한 전북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에서 조선 시한폭탄인 비격진천뢰 11점이 발견됐습니다.
오늘(15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호남문화재연구원은 무장읍성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수혈 유적과 주변 퇴적토에서 비격진천뢰 11점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작렬 시한폭탄이라고 할 수 있는 비격진천뢰는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전 선조 연간에 화포장 이장손이 발명했다고 알려졌습니다.
비격진천뢰는 무쇠 재질 원형 박 모양으로 내부에는 화약과 쇳조각, 발화 장치인 죽통을 넣었습니다.
완구라는 화포에 넣어 발사하면 목포 지점에 도착해 일정 시간이 흐른 뒤 천둥, 번개와 같은 굉음과 섬광을 내면서 터져 수많은 파편을 쏟아냈습니다.
조선왕조실록 선조 25년(1592) 9월 1일 기사에는 "밤에 몰래 군사를 다시 진격시켜 성 밖에서 비격진천뢰를 성 안으로 발사해 진 안에 떨어뜨렸다. 적이 그 제도를 몰랐으므로 다투어 구경하면서 서로 밀고 당기며 만져보는 중에 조금 있다가 포가 그 속에서 터지니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고 쇳조각이 별처럼 부서져 나갔다"는 대목이 있습니다.
이번에 나온 비격진천뢰는 지름 21㎝·무게 17∼18㎏으로 크기가 비슷하며,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입니다.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비격진천뢰는 모두 6점으로, 그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한 점이 보물 제860호로 지정됐습니다.
이영덕 호남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실장은 "비격진천뢰 6점은 수혈 유적에서 나왔고, 나머지 5점은 주변 퇴적토에서 발견했다"며 "폭탄은 모두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보이는데, 수가 많다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무장읍성 비격진천뢰를 제작한 시점은 명확하게 알기 어렵지만, 구덩이에 폭탄을 모아놨다는 점에서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묻은 듯하다"며 "비격진천뢰는 조선 후기까지 사용했는데, 1894년 동학농민운동 당시 관군이 도망가면서 은닉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비격진천뢰가 나온 수혈 인근에서는 포를 쏜 시설로 짐작되는 포대 유적이 발견됐습니다.
포대 유적은 지름 170cm, 깊이 25㎝인 원형으로, 돌을 깔아 평탄면을 조성한 뒤 흙을 다졌습니다. 남쪽에서는 포를 거치하기 위해 뚫은 기둥구멍 2개가 드러났습니다.
이외에도 조선시대 훈련청과 무기창고로 추정되는 건물터 유적 10여 동과 도로 시설, 자기, 기와가 출토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